"화물연대 경제 마비 우려했나" 지적 나와

화물연대는 7일 오전 경기도 의왕ICD에서 서울경기지역본부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사진=김주현 기자
화물연대는 7일 오전 경기도 의왕ICD에서 서울경기지역본부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사진=김주현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 총파업으로 인해 레미콘 공장이 멈춰선 데 이어 자동차 등이 생산 마비 위기에 직면하는 등 총파업 여파가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화물연대는 지난 7일 안전운임제 유지·확대 등을 촉구하며 전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바 있다.

전체 화물차 중 화물연대 가입차량 비중은 5% 수준으로 파업으로 인한 산업분야의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화물연대 조합원의 비노조원에 대한 운송 방해와 비노조원들의 파업 참여 등이 발생하면서 산업 전반으로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화물연대 조합원들은 서울·경기지역 본부를 중심으로 전국 주요 거점 진입로에서 비조합원들의 차량이 물류 기지 등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레미콘공장 70% 가동 중단..."경제 마비는 막아야"

이에 총파업 사흘 째인 9일 시멘트 운송 차질로 시멘트를 주원료로 쓰는 레미콘공장의 70%가 가동을 멈춘 것으로 확인됐다.

3천여대의 시멘트 운송 차량 중 30%인 약 1천여대가 화물연대 조합원 차량이지만 나머지 2천여대도 파업 동참 또는 조합원들의 운송 방해로 인해 실제로 운송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레미콘공장들이 시멘트 재고물량을 하루~사흘치 레미콘을 생산할 만큼만 받아두다 보니 하루라도 시멘트가 공급되지 못하면 공장 가동을 멈춰야 하는 곳들이 많다.

철강·자동차업계도 비상이 걸렸다.

이날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와 현대제철에서 15만톤(t) 가량의 철강재 출하가 지연됐다.

타이어업계에서는 금호타이어가 광주와 평택, 곡성 등 생산공장에서 타이어 출하가 중단돼 사흘 동안 24만여개의 타이어가 출하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철강과 타이어 등을 부품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업계 또한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자동차산업은 약 3만개의 부품 조립으로 생산되는 전형적인 조립산업이자 적시생산방식(JIT·Just In Time)으로 생산이 이뤄지는 업종이다. 이에 물류가 원활하지 않아 부품이 하나라도 공급이 되지 않으면 완성차 생산이 중단되는 상황에 처할 수 밖에 없다.  

자동차산업연합회 등은 전날 입장문을 내고 “자동차업계의 가동과 생존권을 위협하는 파업과 물류방해 행동이나 기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청했다.

이어 연합회는 “파업 등으로 인해 자동차업종에 피해를 야기하는 경우 고발 등 법적 조치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한 레미콘업계 관계자도 “화물업계는 국가 산업에서 인체의 혈액과도 같은 역할을 하는 대단히 중요한 산업”이라며 “화물업계가 파업을 결정하기 이전에 전산업계 마비를 우려했는지, 업계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생계를 고려했는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반드시 파업을 해야겠다면 비조합원들이라도 운송을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 최소한 경제가 마비되는 것은 막아야 하지 않겠나”고 요청했다.

화물연대, "정부, 안전운임제 입장 밝혀야" 

한편 이번 파업에서 발생하는 불법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 입장을 밝힌 경찰은 이천 15명, 부산 2명 등을 포함해 8일까지 화물연대 조합원 21명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8일 부산신항에서 지나가던 화물 트레일러 차량 2대의 진행을 막아서며 물병과 계란을 투척하는 등 운송을 방해한 혐의로 화물연대 조합원 2명을 체포했다. 경기도 이천에서는 조합원들이 하이트진로 이천공장으로 드나드는 화물 차량을 막아선 15명이 경찰에 검거됐다.

앞서 7일에는 울산에서 화물연대 조합원 4명을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현장에서 체포한 바 있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조합원들이 사측이 투입한 대체운송차량의 진입을 막으면서 충돌이 일어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 “대체차량이 투입되면 파업을 하는 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그는 “정부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에 대한 책임감 있는 입장을 밝히는 것을 해태하고 있기 때문에 화물연대가 파업에 돌입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라며 “파업의 책임이 화물연대에만 있는 것처럼 떠넘기면서 강경한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는 데 대해선 유감”이라고 표명했다.

[시사경제신문=박영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