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부진·수출 둔화 고성장하던 제조업 부진해진 영향

한국은행 BOK이슈노트에 실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노동생산성 둔화 요인 분석’ 보고서. (자료=한국은행)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금융위기 이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더 많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고성장을 주도하던 제조업이 크게 부진해진 영향으로 분석됐다. 

25일 한국은행 BOK이슈노트에 실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노동생산성 둔화 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09~2017년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이전(2002~2008년) 대비 1.72%p 하락했다.

이외에도 같은 기간 OECD 국가들의 평균 노동생산성 증가율 하락폭(-0.54%p)과 비교하면 더 큰 폭으로 둔화한 것이다. 영국(0.96%p), 독일(-0.76%p), 미국(-0.51%p), 일본(-0.57%p) 등보다도 둔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노동생산성의 큰 폭 둔화는 우리 제조업의 경쟁력을 악화 시킨 요인으로 3가지를 말했다. ▲거시 요인 ▲산업 및 기업규모별 요인 ▲구조조정 부진 요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먼저, 거시 요인을 보면 위기 이후의 투자 부진과 수출 둔화가 제조업 노동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설비투자 기피는 자본장비율 하락으로 이어졌으며, 해외 수요 감소에 따른 수출 둔화는 요소 활용도 저하(유휴 생산요소의 증가) 등으로 이어져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다음으로, 산업 및 기업규모별로 살펴보면, 주력 산업 및 대기업의 노동생산성 부진이 제조업 전반의 노동생산성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위기 이전의 정보 기술 확산, 글로벌 벨류체인(GVC) 확대 등은 전자, 자동차, 조선업 등 주력 산업 및 대기업의 노동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위기 이후 동 효과가 포화점(saturation)에 도달하면서 노동생산성이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조조정 부진 요인을 보면, 위기 이후 저생산성 기업에 대한 퇴출 부진은 노동생산성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이러한 저생산성 기업의 퇴출 부진은 저생산성 기업에서 고생산성 기업으로의 인적자원 이동을 제약(인적자원 배분의 효율성 약화)하고, 선도기업(노동생산성 상위 5%)과 후행기업(노동생산성 하위 95%) 간 노동생산성 수렴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우리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둔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연구팀 보고서에서 “위기 이후 부진한 모습을 보인 대기업과 주력 산업의 노동생산성 제고를 위해 투자 활성화, ICT 업무 활용도 제고, 연구개발 효율성 향상 등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활용은 OECD 국가중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는 만큼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해 이런 기술을 적극 활용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며 “생산성이 낮은 기업들이 큰 비용없이 시장에서 퇴출되고 신기술을 습득해 다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