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신문=이재혁 기자] 셀트리온은 어떻게 지금의 공룡같은 기업이 될 수 있었을까. 이는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의 공격적이면서 인재 중심적인 경영이 이끌어낸 성과다.

셀트리온그룹 창업자 서정진 회장은 불과 34세던 1992년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이 직접 기획재무 자문 임원으로 발탁했을 정도로 능력이 뛰어났다.

서정진 회장은 창업 고민을 하던 중 바이오산업이 유망하다는 판단을 하고 이를 파기 시작했다. 당시 생물학 전공이나 바이오산업 전문가는 없었지만 서정진 회장은 직접 1년간 40여개국을 방문해 유명 바이오 연구자들을 인터뷰하는 등 무섭게 매진했다.

넥솔바이오텍 창업후 2002년 인천 송도를 중심으로 탄생한 셀트리온은 창업 초부터 암초를 만났다. 벡스젠의 에이즈 백신 기술을 이전받아 한국에서 생산할 수 있게 돼 투자를 받았지만, 공장 완공을 앞두고 에이즈 백신의 임상실험이 실패해 나쁜 생각도 했다. 

하지만 이 고비를 이겨낸 뒤 셀트리온은 급속도로 성장한다. 2005년 공장 완공 후 불과 3개월 뒤 BMS와 CMO 계약을 성사시켰고 2년 뒤 셀트리온 공장은 아시아 최초 FDA 승인까지 받았다. 불과 창업 5년 만에 셀트리온은 635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승승장구했다.

2016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램시마 론칭 기념식에 참석한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회장 (사진=셀트리온그룹 제공)

그러나 서정진 회장의 목표는 더 높은 곳을 향했다. 회사 매각 제의가 쏟아졌지만 서정진 회장은 대신 셀트리온의 기술력으로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해보기로 했다. 

셀트리온이 주목받은 것은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가 국내 허가를 얻으면서부터다. 창업 무려 10년 만이었다. ‘램시마’는 2016년 FDA 허가를 받으면서 셀트리온의 무서운 성장 기반이 됐다. 셀트리온은 이후 세계 최초 바이오시밀러에 이어 세계 최초 항암제 바이오시밀러 출시를 통해 세계적인 바이오기업으로 거듭났다. 

서정진 회장은 사업을 더 확장했다. 싱가포르에 제3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약 8000억원을 투자하기로 계획했고,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늘려갔다. 바이오시밀러 1위 기업에, 아직도 셀트리온의 신제품엔 기대작들이 넘쳐나고 있다. 연매출 규모는 짐작조차 못할 정도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서정진 회장의 ‘비전 2030’ 발표 역시 서정진 회장의 공격적 운영을 잘 보여준다. 실제로 바이오 산업에 향후 10년간 4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발표가 이뤄졌을 때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현재 매출은 1조원이지만, 서정진 회장은 더 큰 가능성을 보고 있다.

서정진 회장은 공격적인 운영 외에도 인재 중심의 운영을 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서정진 회장은 앞서 회사의 급여나 복지 등에 대한 질문에 “삼성보다 많이 주는 것”이 기준이라고 했다. 또 실제로 “초기엔 삼성 급여 수준을 따라가기 힘들었지만 현재는 상승세가 가파르지 않아 괜찮다”고 전하기도 했다.

서정진 회장은 “임금이나 복지가 우리나라에서 우리 회사가 최고라고 생각하게 하는 것”이라며 “좋은 인재는 좋은 처우를 해줘야 온다”고 소신을 밝혔다.

서정진 회장의 이같은 기업 운영 방식에 힘입어 셀트리온은 코스피 시장의 공룡으로 성장했다. 바이오시밀러 부문에선 세계 1위다. 

서정진 회장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앵커 기업’이 되겠다는 목표도 공개했다. 셀트리온의 발전은 물론 산업 전반을 이끄는 리딩 기업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정진 회장은 ‘비전 2030’에서 향후 국내 기업들과 상생할 수 있는 부분, 원부자재를 국산화하면서 고용 창출까지 만들어낼 것이라는 점 등 청사진을 제시했다.

서정진 회장은 무에서 유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는 곧 위험성을 뜻하기도 한다. 신약 개발이 늘 성공하는 것도 아니다. 셀트리온 후발 주자들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진다. 이런 상황에서 서정진 회장의 ‘비전 2030’이 회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셀트리온을 키워온 서정진 회장의 경영 방식, 국가적 지지 등 여건은 ‘비전 2030’에 대한 회의보다는 희망과 확신을 심어주는 쪽이 더 크다는 것이 중론이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