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신문=이재혁 기자] 셀트리온그룹이 바이오와 케미칼 의약품 사업 등에 총 4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회장은 지난 16일 인천시청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사업에 25조원 등 총 40조원을 투자하기로 한 성장 로드맵인 ‘비전 2030’을 공개했다.

셀트리온그룹의 ‘비전 2030’엔 인천 송도 바이오의약품 사업 25조원, 충북 오창 케미컬의약품 사업 5조원, U-헬스케어 플랫폼 사업에 10조원 등 총 40조원을 투자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회장

 

○ 본사 있는 인천 송도, 바이오의약품 사업 25조원 투자

인천 송도엔 셀트리온그룹 본사가 위치해 있다. 셀트리온그룹은 인천 송도에서 면역항암제를 포함한 2세대 바이오시밀러를 20개 이상 개발하고 신규 치료 기전을 도입한 신약을 확보하는데 16조원을 투자한다. 

또 연간 바이오의약품 원료의약품 1,500배치(100만 리터)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확충하고, 연간 1억 바이알을 생산할 수 있는 완제의약품 생산 환경을 구축해 세계 1위 규모 생산능력을 확보하는데 5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4조원을 글로벌 유통망 확충과 스타트업 지원에 투자한다. 셀트리온그룹은 올 연말까지 유럽 직판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2020년엔 아시아·남미 등지, 2021년엔 미국·캐나다 등 세계 최대 제약 시장에서도 직판 체계를 확대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 셀트리온제약 위치한 충북 오창, 케미컬의약품 사업 5조원 투자

충북 오창엔 셀트리온제약이 위치해 있다. 셀트리온그룹은 셀트리온제약을 주축으로 케미컬의약품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케미컬의약품 사업 부문은 의약품의 수명 주기를 고려해 약 50여개의 파이프라인을 운영할 방침이다. 또 라이선스 인 및 자체 개발을 통해 신약 제품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그룹은 연구개발에 4조원, 생산설비에도 1조원을 투입해 연간 100억정 규모로 생산을 확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U-헬스케어 플랫폼 개발, 의료데이터 및 인공지능에도 집중 투자

U-헬스케어 사업엔 총 10조원을 투자한다. 셀트리온그룹은 의료 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사업에 4조원, 진단기기 개발 생산에 6조원을 투입한다고 전했다.

셀트리온그룹은 환자-진료-처방-유통 과정을 4차 산업과 연계하는 바이오 e-커머스 플랫폼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의료 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사업에 집중한다.

또 맞춤형 진료와 정밀 진료에 필요한 의료 데이터 수집을 위한 진단기기 개발 및 생산을 해 직판 네트워크와 연계 가능한 신사업 플랫폼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 40조 투자로 노리는 것은?

일각에선 셀트리온그룹의 40조 투자에 대해 투자재원을 마련하는데 있어 비현실적인 수치라고 지적하고 있다. 또 이를 바련하기 위해 대규모 유상증자를 연속 시행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회장이 곧 의약품 특허 만료 후 확충된 라인을 통해 해당 의약품을 상품화해 공격적으로 시장에 뛰어든다면 점점 커지는 제약산업에서 2030년까지 충분한 매출 및 영업이익을 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분석도 나오고 있다.

셀트리온그룹은 이번 ‘비전 2030’을 통해 총 11만명의 직간접 고용 창출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셀트리온그룹은 약 2,000여 명의 R&D 인력을 의약품 사업 실현을 위해 신규 채용할 계획이다. 바이오 및 케미컬 의약품 공장 확충 후 생산시설에도 8,000여 명의 인력이 필요해 1만여 명의 직접 고용 창출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업종 전반에 걸쳐 10만여 명의 간접 고용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셀트리온그룹은 주요 원부자재 국산화를 추진해 고용 창출 효과와 투자 유치 등을 노려 상생할 방침이다. 향후 정부 및 학교와 연계해 R&D 및 공정전문가 육성도 힘쓸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를 위해 오픈이노베이션 펀드도 구축하고, 자사의 글로벌 유통 시스템을 국내 제약사의 수출 활로 개척에도 활용하는 등 앵커기업으로서 역할도 수행할 방침이다.

서정진 회장은 "셀트리온그룹은 국내 바이오·제약 산업을 리딩하는 기업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국가의 헬스케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사업을 중점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목표를 밝혔다.

또 “전 세계 인류의 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환자 삶의 질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기업을 만들어간다는 창업 정신과 기업 철학을 실현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