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 5.36% 상승, 전셋값도 4.61% 올라
지난해 마지막 달까지 상승 계속, 월세는 역대 최대 상승률 기록

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의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전달 대비 0.90% 올랐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5.36% 상승했으며,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값이 7.57% 올라 가장 크게 뛰었다. 사진= 시사경제신문 DB


지난해 전국 집값이 5.36% 올라 9년 만에 최고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도 4.61% 상승해 5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자고 나면 전국의 집값과 전셋값이 오르는 형국이다. 

문제는 시간이 흐를수록 상승 폭이 커진다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집값은 12년 6개월 만에, 그리고 전셋값은 9년 3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실수요자 10명 중 6명은 올해 집값과 전·월세 가격이 모두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촉발된 전세대란이 올해에도 집값을 밀어 올릴 것으로 보는 것이다.

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의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전달 대비 0.90% 올랐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5.36%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11년의 6.14%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값이 7.57% 올라 가장 크게 뛰었다. 단독주택은 2.50%, 연립주택은 1.16% 각각 상승했다. 아파트는 9년 만에, 연립주택은 5년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다만 단독주택은 전년보다 상승률이 낮아졌다.

서울의 집값은 지난해 2.67% 올라 지난 2018년의 6.22% 이후 최고로 올랐다. 재작년 서울 집값은 1.25% 상승에 그쳤다. 서울에서는 노원구가 4.74% 올라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이어 구로구 3.61%, 동대문구 3.59%, 강북구 3.49% 등의 순으로 나타나는 등 외곽 지역의 강세가 눈에 띄었다.

집값을 주도하는 강남(0.59%), 서초(0.81%), 송파구(1.48%) 등 이른바 강남 3구의 상승률은 평균을 밑돌았다. 지난해 전국 광역시·도 기준으로 집값이 가장 크게 뛴 지역은 수도 이전 논의가 있었던 세종시로 상승률이 무려 37.05%에 달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집값은 6.49% 상승한 가운데 경기는 9.14%, 인천은 6.81% 각각 상승했다. 광역시·도 상승률은 세종에 이어 대전(13.99%), 울산(7.63%), 인천(6.81%), 부산(5.90%), 대구(5.85%) 등의 순이다.

지난해 전국의 전셋값은 전년과 비교해 4.6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5년의 4.85% 이후 5년 만에 최대폭으로 오른 것이다.

지난해 전국의 전셋값은 상반기까지 0.09∼0.28% 상승률을 유지하다가 임대차 2법이 추진된 7월 0.32%, 법이 본격 시행된 8월 0.44%로 상승 폭이 커졌다. 그 이후 9∼11월 0.53%, 0.47%, 0.66%에 이어 지난달 0.97%로 지난해 들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집값과 전셋값 상승은 지난해 마지막 달까지 계속됐다. 지난해 12월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90% 상승해 2008년 6월의 1.15% 이후 12년 6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0.17%→0.26%)을 비롯한 수도권(0.49%→0.66%), 지방(0.58%→1.12%), 5대 광역시(1.01%→1.79%), 8개도(0.29%→0.68%) 등이 모두 상승 폭을 키웠다.

지난해 12월 전국 전셋값은 0.97% 상승해 2011년 9월의 1.33% 이후 9년 3개월 만에 최고로 올랐다. 서울(0.53%→0.63%)을 포함한 수도권(0.74%→0.89%) 전체적으로 전셋값이 올랐다. 특히 지방(0.58%→1.03%)은 전달 대비 2배 이상 상승 폭을 키우며 전세난이 심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12월 전국 주택 월세는 0.32% 올라 전달의 0.18%보다 상승 폭을 키우며 2015년 7월 이후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사경제신문=원금희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