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통한 정보유출 민감…보안 엄격해질듯

사진=PIXABAY

 

[시사경제신문=이인배 외교안보전문기자] 북한 당국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현지지도 등 공개행사와 관련한 사항에 대해 철저한 보안을 지시했다. 김 위원장이 20여일만에 공개활동을 재개한 시점에서 나온 소식이라 더욱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된다.
 
자유아시아방송(RFA)는 5월 5일 내부소식통 발언을 인용해 이달 초 최고지도자의 행선지와 신상에 관한 비밀을 철저히 지킬 것을 지시하는 문서가 해당기관에 전달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해당 문건엔 당 조직과 안전보위, 인민보안기관들의 보안엄수를 강조하면서, 행사에 동원되는 요원들의 선발과정에 있어서도 더욱 엄격할 것을 지시했다. 

또 최고지도자가 현지 지도하는 행사예정 구역을 평상시에는 소홀하게 관리하고 있다가, 갑자기 청소와 꾸미기 등 주변 정리활동을 하면서 사전에 행사 비밀을 노출시키는 경우가 있었다고 문건을 통해 지적하기도 했다. 

북한 당국이 가장 경계하는 것이 국경지역에서 불법 휴대전화를 통해 최고지도자의 행사관련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상황인데, 이에 대한 엄중한 경고도 지시문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휴대전화를 통한 최고지도자 관련 정보 유출 사건은 이전에도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2004년 4월 평안북도 용천역 폭발사건이었다. 현장에서 휴대전화가 발견되자 북한 전역에서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고 단말기를 압수했다. 당시 북한 내부 휴대전화 보유 대수는 2만여개였다. 

지난해 10월 16일 김 위원장이 백두산을 백마타고 오르는 장면을 연출하는 과정에서 관련 사항이 사전에 유출되기도 했다. 이 때도 보위성은 불법 휴대전화를 통해 외부에 유출됐다는 단서를 잡고 양강도 일대에 대한 대대적인 검열을 실시했다. 현재 북한 주민 500만명 이상이 ‘손전화’로 불리는 휴대전화를 합법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2004년처럼 전면 차단도 어려운 상황이다.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과 2019년 2월 하노이 정상회담 당시에는 김 위원장의 활동을 거의 실시간 보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노딜’로 끝난 후, 북한은 미국뿐 아니라 한국, 중국과의 관계도 단절하고 자력갱생에만 매달리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최고지도자 일정 관련 보안강화 지시로 인해 김 위원장의 활동 소식은 더욱 신중하게 보도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