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모기 방제 효과 커…지카·뎅기열 예방 활용 전망

▲ 광릉왕모기 성충. 사진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제공
시사경제신문 김지원 기자 = 국내 처음으로 모기 유충을 잡아먹는 '모기의 천적' 광릉왕모기의 사육기술 개발이 성공하면서 지카·뎅기열 예방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지카 바이러스나 뎅기열을 옮기는 숲모기와 서식 환경이 유사한 국내 토착종 광릉왕모기를 활용한 모기방제 기술이 개발됐다고 10일 밝혔다.

이 모기는 유충일 때는 다른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지만 성충이 되면 암수 모두 흡혈하지 않고 꽃의 꿀을 섭취하기 때문에 모기의 천적이자 꽃가루를 매개해 주는 이로운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유일한 왕모기인 광릉왕모기에 대한 연구는 분포 지역 등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이뤄졌으며, 광릉왕모기를 번식시켜 모기방제에 활용하는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광릉왕모기 유충 한 마리가 하루에 약 26마리 다른 모기 유충을 잡아 먹을 수 있으며, 이에따라 유충기간인 약 16일 동안 416마리의 모기 유충을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모기를 매개로 지카나 뎅기에 감염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최근 해외여행이 증가하고 평균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향후 광릉왕모기를 활용한 친환경 모기방제 기술은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앞으로 해당 기술을 현장에 적용해 생태계 영향을 평가하는 한편 유지·관리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해 최종적으로 생태계 적용에 용이하도록 지원하는 연구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난 2015년 5월에 친환경 모기방제 기술로 먼저 개발된 잔물땡땡이 활용 기술과 이번 광릉왕모기 기술을 함께 적용해 지자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 이전도 계획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