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시설물ㆍ인력ㆍ시스템 전반에 걸쳐 안전기능 보강

시사경제신문 원금희 기자 = 서울시가 지하철 운영 패러다임을‘안전’으로 전환한다.

시는 ‘안전’으로 전환되는 지하철 운영패러다임에 맞게 지하철 시설물ㆍ인력ㆍ시스템 전반에 걸쳐 안전기능을 보강한다. 또 사물인터넷(IoT)등 ICT를 활용한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의'서울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8일 발표했다.

전동차 제작업체 선정 시에는 규격(기술)입찰을 거친 후 가격입찰을 실시하는 2단계 분리입찰 방식을 검토한다. 시는 안전성을 담보하는 기술력 확보와 함께 공정경쟁을 담보해 현 전동차시장의 독점구조를 타파한다.

신규 전동차에는 승강장안전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출입하지 못하도록 자동 연동되는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자동열차운전장치)시스템이 적용된다.

개통 후 40여년이 경과된 1~4호선의 전차선로, 열차신호설비 등 7개 분야 21종의 노후시설도 2030년까지 총 2조 2천억 원을 투입해 개량한다. 여기에 120개 노후역사 리모델링도 지속 추진한다.

또 장애고장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등 승강편의시설도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부품의 교체주기를 정립한다. 정밀안전주기도 20년에서 15년으로 단축하는 등 안전관리체계를 강화한다.

내진보강 사업은 작업구간 대부분이 고가ㆍ터널임을 감안, 무리한 공기단축 보다는 공사장 안전관리 확행을 최우선으로 한다. 현장 감독자의 작업자 안전수칙 이행여부 관리를 강화하고, 터널ㆍ선로작업시 안전관리요원도 추가한다.

아울러 양공사 통합과 연계해 안전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스마트통합관제시스템’을 2023년까지 구축한다. 이를 통해 유사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차량고장 시에는 관제보고보다 승객안내방송을 먼저 실시하고, 단전 시에도 승객안내가 가능한 무정전 방송장치를 ’20년까지 2,942량에 확대 도입한다. 이 외에도 비상시 대피절차·요령을 담은 '시민안전 행동매뉴얼'을 제정한다.

지하철 공사현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현장의 안전관리실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도 도입한다.

기존의 ‘지하철안전지킴이’ 앱을 업그레이드해 관제ㆍ역무실에 연결되는 비상버튼을 추가하고, 비상시에는 자동으로 팝업창을 띄워 상황정보와 행동요령을 안내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등 승강편의시설의 실시간 작동 현황 정보와, 이를 반영한 최단 이동경로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전동차 정비 및 유지보수 시간확보를 위해 지하철 심야 연장운행시간 조정도 검토하기로 했다.

사물인터넷(IoT) 등 ICT를 활용해 안전강화를 비롯해 서비스 품질 및 운영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스마트안전지하철’ 마스터플랜을 3월부터 수립한다.

아울러, 도시철도공채 판매금액 배분 방식을 변경해 양공사에 더 많이 배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노후시설 재투자를 위한 공사채 발행이 가능하도록 행자부에 발행기준의 개선을 요청할 방침이다. 

지하철 양공사도 계속해서 신규사업을 발굴하고 경비를 절감하는 등 신규수익 창출을 위한 자구노력을 더욱 강화하도록 하면서, 지하철의 공공성을 감안해 지하철 이용자가 교통복지의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총 수입의 원가보전율을 90~95% 수준으로 설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지하철 운영 전반에 걸쳐 ‘안전최우선’ 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용승객들의 안전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가 바탕이 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안전지하철을 뒷받침할 수 있는 안전투자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