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제로 연구인프라 조성 등 극지 산업 기반 마련 '추진'

브리핑하는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브리핑하는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2030년에 극지 연구를 위해 세계 6번째로 남극 내륙기지를 건설한다.

22일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 극지활동의 미래 비전을 정립하고, 추진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하고, 국무회의에서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은 남북극을 포괄하고, 과학연구뿐만 아니라 경제활동과 국제협력, 인력양성까지 극지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최초의 법정계획이다.

지난해 4월 남북극에서의 극지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극지활동 진흥법'을 제정했다. 이 법을 통해 극지 인프라 운영과 과학기술개발, 국제협력 등의 다양한 극지활동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우리나라는 2027년까지 내륙연구 최적 거점을 기지 후보지로 선정하고, 이후 본격 건설을 추진하여 2030년에는 남극 내륙에 세계 6번째로 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또 2026년까지 1만5000t급의 제2쇄빙연구선인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건조한다.

이에 따라 세계 최고 수준의 쇄빙능력(1.5m/3노트)을 보유하게 되면 기존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로 진입하기 어려웠던 북위 80도 이상의 고위도 북극해까지 진출할 수 있게 된다.        

고위도 북극해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에 필수적인 해빙(海氷) 현장 관측, 북극해 공해상의 수산자원 모니터링 등의 연구가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기반으로 2027년부터는 아시아 최초로 북극해 국제공동연구를 주도할 방침이다.

해수부는 기후변화의 최전선인 극지의 환경 변화를 관측하고, 이러한 변화가 전 지구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이에 북극의 변화가 우리나라 사계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힐 계획이다. 또 전 지구 해수면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남극 빙하가 녹는 원인을 밝힌다. 

해수부는 북극권 친환경 수소에너지 기반 탄소제로 연구인프라 조성 등 극지 산업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극한지 신기술을 개발하고, 북극항로 운항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

북극에서 컨테이너 운송이 가능한 '친환경 쇄빙컨테이너선'을 개발해 우리나라 선사들이 북극항로에서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남북극의 극저온과 강풍 등 극한 환경을 극복하는 통신 기술과 무인이동체, 건설기술(모듈러 등)도 개발한다.

정부는 이러한 기술들을 향후 우주나 심해 등 다른 극한지를 탐사하는 기술로 활용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극지의 수산·생명자원도 확보한다.

오는 23일부터 인천에서 제1차 당사국총회가 개최되는 '중앙 북극해 공해상 비규제어업 방지협정'을 주도해 북극해 수산자원을 보호하면서 지속가능한 어업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극한환경에서 생존한 극지 생물자원을 활용해 항생제와 치매치료제, 항균·면역조절물질 등의 신규 의약물질을 개발하는 등 해양 바이오산업의 활성화에 나선다.

한편 남극 내륙을 탐사하기 위해서는 '크레바스(빙하가 갈라져서 생기는 틈)'를 피해가야 하는 등 고난도의 탐사기술이 필요해 이 탐사기술을 보유한 미국·러시아·일본·프랑스+이탈리아·중국 등 6개국만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시사경제신문=박영신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