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

코로나19가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고용에 보다 더 큰 타격을 줬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로나19로 직장을 잃은 실직자 중 저소득층이 가장 비율이 높았다.

3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코로나19가 취약계층 직장 유지율에 미친 영향’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감소율을 전체 실직자 대비로 환산한 결과 저소득층 실직자의 경우 10명 가운데 4명은 코로나19 탓에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위소득층은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국내 코로나19 사태 발생 첫해(2020년) 저소득층의 직장 유지율은 약 8.4%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득층의 하락폭은 저소득층보다 낮은 약 3.2%포인트였고, 고소득층의 경우 직장 유지율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유지율은 현재 일자리(직장)를 가지고 있는 근로자가 다음 연도에도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비율을 의미한다.

특히 코로나19는 여성·청년층에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입힌 것으로 보이는데,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청년층과 여성의 직장 유지율은 각각 4.3%포인트, 3.5%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코로나19에 따른 남성의 직장 유지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업별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직장 유지율이 약 8.4%포인트 하락했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직장 유지율도 약 8.8%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연은 “고용 위기에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의 직접 일자리 대응은 막대한 재원 소요, 근로의욕 저하, 도덕적 해이 등을 유발할 수 있다”며 “이보다는 고용 인센티브 확대, 직업훈련 연계 등을 통해 민간부문에서 일자리 창출 가능성을 제고해 노동시장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사경제신문=박영신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