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여론몰이식 비판, 결국 피해는 고양시민들 몫

오세훈 시장 만나 공동협의회 재운영 등 적극적 협상 펼쳐 현안 챙길 것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그동안 답보상태에 놓여 있는 서울시 운영 기피시설문제의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고양특례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그동안 답보상태에 놓여 있는 서울시 운영 기피시설문제의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고양특례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그동안 답보상태에 놓여 있는 서울시 운영 기피시설문제의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2일 밝혔다. 

최근 서울시가 ‘난지물재생센터’ 하수시설에 대한 공원화 계획을 언론에 발표한 바 있다. 이 계획에는 서울시 5개 자치구(서대문·마포·영등포·종로·은평)의 음식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대책 등 주민요구사항이 미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서울시 기피시설과 관련해서 지난 27일 박광수 마포구청장이 창릉신도시 추진으로 계획부지 안에 예정된 레미콘 공장을 비롯한 주민불편 시설들이 서울시 마포구에 인접한 고양시 현천동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전면 백지화하라는 기자회견을 진행한바 있다. 

▲한준호 국회의원이 29일 고양시에 있는 서울시 기피시설 이전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사진설명:  한준호 국회의원(중앙),  좌로부터 정민경 시의원,  명재성 도의원,  이경혜 도의원,  이해림 시의원,  최규진 시의원(문화복지위원회 부위원장),  송규근 시의원(기획행정위원회 위원장)     현장사진=취재기자
▲한준호 국회의원이 29일 고양시에 있는 서울시 기피시설 이전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사진설명:  한준호 국회의원(중앙),  좌로부터 정민경 시의원,  명재성 도의원,  이경혜 도의원,  이해림 시의원,  최규진 시의원(문화복지위원회 부위원장),  송규근 시의원(기획행정위원회 위원장)     현장사진=취재기자

이에 고양시가 지역구인 한준호(더불어민주당. 고양을) 국회의원이 29일 고양시청에서 그동안 고양시에 설치되어서 운영되는 서울시 기피시설들이 이제는 서울시로 이전해야 한다라며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한준호 의원은 이에  신도시 개발로 기존 주민들의 피해가 발생해서는 안된다는 박광수 마포구청장의 의견에 동의한다고 밝히며 서울시 기피 시설들로 수십 년간 고통받아왔던 고양시민의 불편도 이제는 멈춰야 할 때가 됐다라는 의견을 기자회견시 밝혔었다. 

사실 기피 시설과 관련된 해묵은 난제들이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속 시원한 답변을 들려줄 시기만을 고양시민들은 오랜기간 기다려 왔었다.

난지물재생센터에는 하수처리시설, 분뇨처리시설, 음식폐기물처리시설 등이 들어서 악취로 인한 주거환경 악화로 고양시민들에게 피해를 지속하고 있는 시설이다. 

이에 이동환 고양시장은 “과거 고양시와 서울시가 수차례 협의를 해왔지만 서울시장 부재와 코로나 팬데믹의 장기화 등으로 2020년 11월 이후부터는 공동협의회가 운영되지도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 문제는 서울시와의 협의를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기에 빠른 시일 내에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서 주민불편사항 개선 및 피해회복을 위한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공동협의회 재운영, 담보할 수 있는 확실한 대책마련,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접근 등 고양시의 입장을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 시장은 “난지물재생시설 뿐만 아니라 주민들이 강력 반대하고 있는 서울시 음식물처리시설의 대책은 물론, 답보상태에 있는 서울시 장사시설(승화원 및 벽제시립묘지) 현대화 및 개선 방안 등 서울시가 운영하는 고양시의 기피시설들에 대해서도 단순한 여론몰이식 비판보다는 실질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서울시와 적극적인 실무협의를 추진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동환 시장은 이미 당선인 신분으로 난지물재생센터를 방문했을 때에도 “이곳 시설들은 장기적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고, 단기적으로는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면서 공원화와 지하화를 신속히 시행해야 한다.”라고 밝힌바 있다. 

한편 시 관계자는 창릉신도시 기업이전 관련 국토부 계획과 마포구청장의 기업이전부지 계획 백지화 성명에 대해 “국토교통부에 시민들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대안 검토 등 국토부에 이미 요청한 사항이다.”라고 말했다.

[시사경제신문=강석환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