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 고도화 '활용'...'인명구조용 드론' 선뵈기도

드론운용사가 드론을 조종하고 있다. 사진=SK C&C 제공
드론운용사가 드론을 조종하고 있다. 사진=SK C&C 제공

지난 1월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서 안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가 됐다. 이런 가운데 AI(인공지능), AR(증강현실) 등 최첨단기술과 결합한 드론이 안전관리 분야의 혁신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안전관리 분야에서의 드론의 활용 현황과 전망·과제 등을 살펴본다.

드론에 AI 결합...사물·위치 인식, 위험상황 경고도

드론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교량 하부의 균열 등을 점검하고. 굴착기의 움직임을 감지해 위험상황 발생 시 경고하기도 한다. 또 화재현장에서 인명구조를 하는 드론도 선보였다.

특히 드론에 비행·촬영기술 뿐 아니라 AI·AR 등 기술 결합으로 물체를 식별하거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면서 안전관리의 고도화가 가능해졌다.

SK C&C가 개발한 ’비전 AI 솔루션‘을 드론에 연결한 시스템은 사람의 시각능력을 재현해 사물과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위험사물·상황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드론이 자체 촬영한 영상 뿐 아니라 주변 CCTV, 모바일 영상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위험 상황을 입체적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기존에는 위험상황이 일어난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 속 풍경 정보와 지도를 대조하며 일일이 확인·분석하는 작업을 거쳐야 했다. 그러나 드론에 AI기술 등을 결합해 안전관리 업무에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

이 드론을 활용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공사현장 등 안전관리 취약 지역에 위치한 시설물·가스관 등을 감시할 수 있다.

굴삭기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굴착 공사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땅 속에 묻혀 있는 가스배관 위치를 증강현실로 보여주고 도시가스 누출 여부를 체크하기도 한다.

드론실증도시 세종특별자치시는 지난 해 5-1생활권 건설현장에서 ‘건설현장 안전관리 서비스’ 테스트를 실시했다.

드론이 안전모·조끼 등 미착용한 건설작업자를 식별해 경고신호를 보내는 등 건설작업자의 안전장비, 동선 등을 감지해 실시간 안전관리를 돕는다.

서울시설공단은 드론을 활용해 교량 하부, 교각, 방호벽 외측 등의 균열이나 패임, 박락 등을 점검하는 등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기도 하다.

이곳들은 근접 육안점검이 어려워 고소차, 굴절차 등 장비를 활용해 안전점검을 시행해 왔지만 교통통제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위험 증가와 수시점검 중요성 증대 등으로 인해 드론을 활용하게 됐다.

경일대 소방방재학과는 산학협력을 통해 개발 중인 ‘인명구조용 드론’을 선보인 바 있다.

경일대의 ‘인명구조용 드론’은 화재나 재난현장에서 70kg의 무게를 싣고 비행할 수 있다. 또 드론에 산소통이나 방염복 등 구호물자도 싣어나를 수 있으며 안내방송 기능도 탑재됐다.

안전분야 활용방안 자체 개발 '필요'..."안전전문가 드론 알아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드론시장은 2016년 704억원에서 2017년 1999원으로 급성장한 데 이어 2020년 4945억원으로 확대됐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2.5배 성장했으며 연평균 13%씩 성장한 것이다.

이에 2024년에는 8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드론 활용업체 등록건수도 2017년 약 1500개에서 2021년 6월 약 4000여개로 성장세를 나타냈다.

정부는 2026년까지 국내 드론시장을 4조4000억원 규모로 성장시키고, 세계 5위권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드론시장이 확대되는 만큼 안전분야에서 드론의 활용도 또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안전분야에서 드론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해 드론의 활용방안을 자체적으로 개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지수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드론은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고층건물이나 교량하부 등도 접근이 가능해 최적의 안전관리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드론을 안전분야에서 어떻게 활용할지 찾아내야 하는 부분들이 많이 남아 있다”며 "그래서 재난·건설전문가들이 드론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활용방안에 따라 비행·촬영 기능에 영상·인공지능기술 등을 조합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사경제신문=박영신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