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기업, 총 차입금 125조...이자도 못 갚는 상태 3년간 지속

한국은행이 24일 공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외부감사 의무기업 2만2688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한계기업 수는 3465개로 추정됐다. 사진=시사경제신문

우리나라 기업 가운데 약 15%는 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상태가 3년이나 지속된 '한계기업'으로 분석됐다.

24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외부감사 의무기업 2만2688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한계기업 수는 3465개로 추정됐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이 1을 밑도는 기업을 말한다.

한계기업 비중(전체 분석기업 대비)은 2019년보다 0.5%포인트 증가한 15.3%로 집계됐다. 201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수치다. 한계기업의 총 차입금(124조5000억원)도 지난해 전보다 9조1000억원 늘었다.

 

한계기업 수·차입금 현황. 자료=한국은행

기업 규모에 살펴보면 1년간 대기업 중 한계기업 증가 수(39개)와 한계기업 차입금 증가액(5조6000억원)이 모두 중소기업(-49개·3조5000억원)보다 많았다.

업종별로 한계기업 수 비율을 보면 숙박·음식(43.1%), 조선(23.6%), 운수(22.6%) 등에서 상대적으로 컸다.

한계기업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중윗값(-7.4%)은 나머지 기업(4.1%)을 크게 밑돌았다. 자기자본비율(19.9%)도 비(非)한계기업(45.0%)의 절반 이하 수준이었다.

작년 기준 한계기업 기운데 취약상태(이자보상배율 1 미만)가 4년 이상 지속된 '장기 존속 취약기업'의 비중(기업 수 9.3%·차입금 10.1%)은 과거 5년(2015∼2019년) 평균(9.6%· 10.6%)보다 소폭 줄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2018년 이후 한계기업 비중이 증가세를 보이는데다 대기업의 한계기업 진입이 증가하고 기업당 평균 차입금(1509억원)이 중소기업(164억원)의 약 10배에 이르는 만큼 한계기업 차입금의 부실에 따른 금융기관 자산건전성 저하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시사경제신문=서경영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