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지·중심지 특화 간소화...2026년까지 2만4천호 공급

서울시가 민간투자 6조3천600억원을 포함 총 7조900억원을 투입해 '2세대 도시재생'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사진=원금희 기자
서울시가 민간투자 6조3천600억원을 포함 총 7조900억원을 투입해 '2세대 도시재생'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사진=원금희 기자

 

서울시가 17일 개발과 정비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대전환하는 '2세대 도시재생'에 대한 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앞으로 약 6년간 시비·국비 7천300억원을 투입하며 민간투자 6조3천600억원까지 더하면 총 투자 규모는 7조900억원이 투입 될 전망이다.
 
이번 2세대 도시재생에 따르면 2026년까지 주택 2만4천호를 공급한다는 목표다.
방향성을 보면, 기존 도시재생 4가지 유형(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일반근린형·거점확산형)을 노후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주거지 재생'과 지역경제와 직결되는 '중심지 특화재생' 2가지로 간소화한다.
 
이 중에서 기반시설이 너무 열악한 주거지는 민간 주도 재개발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업성 등을 이유로 재개발 추진이 어려운 지역은 주변에 도로·공원 같은 기반시설을 조성해 소규모 정비사업이 추진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로 했다.
 
예외적으로 한옥밀집지역·고도지역 등 도시계획 규제로 재개발이 어려운 곳은 기반시설 정비와 주택성능 개선 지원 등을 통한 종합적인 재생사업을 지속한다.
 
중심지 특화재생은 그동안 미미했던 민간개발 활성화에 방점을 둔다. 즉, 도심 내 쇠퇴한 시가지에서는 기존 산업을 고도화하고 민간개발로 신산업을 도입해 활력을 불어넣는 중심지 활성화형 방식이다.
 
김포공항 일대에서 경제거점 육성형 시범사업을 시작한다. 현재 주차장과 창고 등이 있는 부지를 항공 관련 신산업과 물류거점으로 조성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서남권의 미래산업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4월 시민 2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도시재생 패러다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시 관계자는 "당시 응답자의 73.1%가 도시재생 필요성에 공감했고, 그 방식으로는 개발·보존 결합이 42.6%, 개발이 31.0%, 보존·관리가 26.4%의 지지를 받았다"면서 "이처럼 개발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73.6%에 달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오세훈 시장이 공약한 '모아주택'도 본격적으로 도입되며, 이는 토지주들이 지하주차장 확보가 가능한 면적(500㎡) 이상을 모아서 공동주택을 지으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시사경제신문=이성익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