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혈세로 충당...4년 누적 적자 438억
1대당 구입가 80만원...서울시민, “이해 안돼”

서울 양천구 목동2단지 주민들이 서울시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 ‘따릉이’를 이용하고 있다. 사진=김혜빈 기자

따릉이 이용가격은 저렴하지만 적자 폭이 크고 대량 납품을 받음에도 자전거 가격이 비싸, 결과적으로 국민 세금이 비싼 자전거 이용에 사용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 ‘따릉이’는 저렴한 이용가격으로 서울시민 4명 가운데 1명꼴로 이용할 만큼 교통 복지의 한 축으로 많은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인기만큼 적자가 늘어난다는 지적과 함께 따릉이 1대당 들어가는 비용이 80만원이면 너무 비싸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2015년 처음 운영을 시작한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매해 두 배 이상의 이용자 성장세를 보이면서 지난해까지 누적 회원 수 278만6000명을 기록했다. 2017~2019년까지 3년 연속 서울시 우수 정책 1위에 뽑히기도 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따릉이 이용자는 더 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출·퇴근길 혼잡한 버스나 지하철을 피해 자전거를 택하는 것이다. 늘어난 수요에 맞춰 서울시는 2022년까지 1만 대 확충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서울시는 달릴수록 늘어나는 따릉이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릉이 수입은 시민들의 이용 요금으로 한정돼 있지만, 자전거 운영 대수가 많아지는 동시에, 앞서 구매한 자전거와 대여소 등이 노후화돼 유지·보수 비용이 늘어나면서 예산 투입 규모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2017년부터 4년간 누적 적자액만 438억2800만원에 달한다.

현재 따릉이 요금은 1년 동안 매일 2시간씩 이용해도 4만원(1년권 이용 시)에 불과하다. 하루 110원꼴이다. 여기에 '제로페이'까지 사용하면 요금은 1년에 3만4000원으로 더욱 저렴해진다.

지난달 4월 29일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는 새로운 자전거·대여소 투입 비용 및 기존 자전거 유지비용으로 2020년 344억8200만원을 사용했다. 2016년 예산은 65억원이었지만, 이후 2017년 243억원, 2018년 238억원 2019년 326억원으로 매년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11월 9일 최기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따릉이의 적자(운영비-수입)는 지난 2017년 68억1100만원, 2018년 99억3400만원, 2019년 113억4700만원, 2020년(8월 기준) 157억36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서울시는 지역마다 따릉이 인프라 구축이 완료됐고, 따릉이의 이용 건수와 요금 수입이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는 적자 폭 감소를 기대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저렴한 가격으로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좋지만 따릉이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싸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가 본격적으로 따릉이 운영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돼서 2017년 박중화 의원(당시 자유한국당, 성동1)은 서울시설관리공단을 상대로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가격 문제에 대해 “따릉이의 가격이 자전거 27만원, 단말기 비용이 50만원으로 1대당 비용이 약 80만원은 너무 비싼 것이 아니냐”고 지적한 바 있다.

따릉이는 노후화 및 높은 고장 빈도와 늘어나는 안전사고 등을 두고 지금보다 서비스 품질이나 자전거 품질이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따릉이에 사용되는 자전거는 알톤스포츠와 삼천리자전거에서 공급받는다.

네이버 지식인에는 “서울시 따릉이 비리 조사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라는 글도 올라왔다.

한 시민은 따릉이 한 대 가격이 80만원인것은 터무니없이 비싸다고 말하면서 아무리 GPS장치 같은 정보기술이 들어있다고 한들 특히 잔고장이 많고 부실한 따릉이 가격으로는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구매과정에서 관계자들이 세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에 한 네티즌은 “자전거 15만원, LCD 제어장비 15만원 총 30만원이면 충분하다”면서 “나머지는 누군가”라고 덧붙였다.

다른 네티즌도 “대당 80만원이라는 가격은 대량생산하여 납품받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비싼 가격”이라는 것은 동의하면서도 “그러나 질문자가 개인이 비리를 밝히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시사경제신문=김혜빈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