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GM 등 반도체·자동차산업 기업들과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 강화 논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반도체 화상회의’에서 반도체 웨이퍼를 들어 보이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AP

미국 백악관은 12일(현지시간) 글로벌 반도체 부품 부족 현상이 심각해짐에 따라 사태의 해결책을 논의하기 위해 '반도체 화상회의'를 개최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주재한 회의에는 파운드리 1·2위 업체인 대만 TSMC와 삼성전자·글로벌 파운드리스·알파벳·인텔·HP·제너럴모터스(GM) 등 반도체와 자동차 분야 회사 등 19개 글로벌 기업이 참석했다. 특히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잠시 참석할 정도로 관심을 보였다.

이번 회의는 반도체 칩 공급난으로 인해 미국의 자동차 업계가 감산에 들어가고 전자제품 생산도 차질을 빚는 일이 생기는 상황에서 업계 의견을 듣고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뤄졌다.

백악관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는 미 정부 측에서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지나 레이몬도 상무장관이 참석했다. 이중 유일한 한국 기업인 삼성전자에서는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든 정부, 잃어버린 반도체 산업 주도권 되찾기 위해 육성 ‘올인’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회의에서 반도체 웨이퍼를 들어 보인 뒤 "이 칩이 초고속통신망을 움직이는 동력이다. 모든 사회 기반 시설"이라며 "오늘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미국의 연구·개발이 다시 훌륭한 엔진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도체 문제를 단순한 칩 수급난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기초 인프라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의중을 드러낸 것이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지속적으로 미국의 공급망 복원을 필두로 '투자'와 '인프라' 등의 단어를 반복해서 사용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만과 한국, 중국 등 아시아에 빼앗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주도권을 미국 중심으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현지에서의 반도체 생산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달 3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 중·장기 투자 계획을 공개하면서 자국 내 반도체 산업 육성의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2조달러 (약 2251조원) 규모의 인프라 건설 정책인 ‘미국 일자리 계획’을 발표했다. 그중 500억달러 (약 56조원)를 반도체 제조 분야에 배정했다.

반도체 공급망 재편 위해...삼성전자에 대규모 ‘투자’ 압박

미국은 재정적 노력 외에 안정적 공급망 확보에도 이미 나선 상태다. 그러나 이는 미국 정부의 노력만으로 되는 건 아니다. 반도체 기업들이 직접 투자를 통해 공장을 지어야만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바이든 정부는 최근 50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지원 계획안을 공개한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내가 제안한 계획은 수백만개 일자리를 만들고 미국을 재건해 미국 제조업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결국 투자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한 뒤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의 경쟁력은 여러분이 어디에, 어떻게 투자하는지에 달려있다"면서 이날 회의에 참석한 19개 기업에게 협력할 것을 압박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뉴욕·애리조나 주와 170억 달러(약 19조원)규모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투자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태다.

파운드리 1위 업체인 TSMC는 이미 지난달 애리조나주에 파운드리 공장 투자를 결정했다.

대중국 견제 노골화..."중국 기다려주지 않아"

만약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부족 사태를 안보 문제로 보고 동맹국 차원의 대응으로 추진할 경우, 삼성전자 입장에선 최대 수출처로 알려진 중국 정부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 낸드플래시 공장을 운영 중이다. 중국 정부 역시 삼성전자에 최근까지도 추가 투자를 요청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든 정부는 이러한 강력한 지원 속에 미국 반도체 기술을 성장시키고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여온 중국에 대한 강한 견제를 드러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여야 상·하원 의원 65명에게서 반도체 지원을 주문하는 서한을 받았다"면서 중국 공산당이 "반도체 공급망을 재편하고 지배하려는 공격적 계획을 갖고 있다"는 서한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중국과 세계의 다른 나라는 기다리지 않고, 미국이 기다려야 할 이유도 없다"며 "우리는 반도체와 배터리와 같은 분야에서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것은 그들과 다른 이들이 하는 것이다.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도체 제조는 아시아 지역에 집중돼 있다. 이런 편중을 해소하고 미국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만든다는 것이 바이든 정부의 계획이다. 바이든 정부는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에 제조시설을 갖고 있는 반도체 기업들의 생산량 확대를 압박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자국 반도체 기업 육성을 꾀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가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 견제를 위해 각종 제재책을 강화할 경우 중국 내 생산 공장이 있고 대(對) 중국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기업으로선 난처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 2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반도체 칩을 들어 보이며 반도체를 희토류, 자동차용 배터리, 의약품 등과 함께 4대 핵심 품목으로 선정해 이들의 공급망에 대한 100일간 검토를 지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한편, 이날 정례 언론 브리핑에서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반도체 회의와 관련해 "장·단기 공급 부족 해법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면서 "우리 관점은 분명히 업계와 긴밀히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의회와도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사키 대변인은 이날 회의가 "단기는 물론 장기적으로도 이 문제를 어떻게 가장 잘 해결할지에 관해 계속되는 관여와 논의의 일부"라며 "어떤 결정이나 발표를 예상하는 회의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회의가 반도체 부족 사태에 대한 구체적인 결정이나 발표로 곧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바이든 대통령이 반도체 부족에 영향을 받은 기업들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고 싶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사경제신문=김혜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