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백악관 회의 소집...우선 공급 요청, 장기적으론 '반도체 자립' 노려

삼성전자 미국 오스틴 반도체 공장 전경. 삼성전자

글로벌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자동차에 이어 스마트폰과 가전 업체까지 생산 차질을 빚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각국은 천문학적인 투자에 나섰다. 여기에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주요 반도체 기업을 불러 대책을 논의하기로 하는 등 국가 간 반도체 패권 경쟁이 시작됐다.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 중·장기 투자 계획을 공개하면서 자국 내 반도체 산업 육성의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앞서 1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행정부는 오는 4월 12일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글로벌 반도체 기업 관계자를 백악관으로 초청한다. 이번 초청의 표면적인 배경은 반도체 칩 부족 현상을 점검하고 해결책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그러나 업계는 백악관이 반도체 업체들이 미국 기업에 먼저 반도체를 공급해 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관측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 완성차 업체들이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실상 안정적인 반도체 공급을 약속받으려는 게 이번 회의의 주된 목적으로 분석한다. 이에 삼성전자 내부에선 백악관 초청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심이 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바이든 행정부는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위해 삼성전자에 대규모 투자를 독려할 가능성도 나온다.

반도체 제조는 아시아 지역에 집중돼 있다. 이런 편중을 해소하고 미국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만든다는 것이 바이든 정부의 계획이다. 바이든 정부는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에 제조시설을 갖고 있는 반도체 기업들의 생산량 확대를 압박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자국 반도체 기업 육성을 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뉴욕·애리조나 주와 170억 달러(약 19조원)규모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투자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태다. 이에 따라 미국 기업들에 대한 반도체 우선 공급, 미국 내 파운드리 공장 증설을 요구받을 수 있다. 만약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부족 사태를 안보 문제로 보고 동맹국 차원의 대응으로 추진할 경우, 삼성전자 입장에선 최대 수출처로 알려진 중국 정부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 낸드플래시 공장을 운영 중이다. 중국 정부 역시 삼성전자에 최근까지도 추가 투자를 요청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정보업체 IHS마킷은 자동차 반도체 공급망 차질로 인해 올해 1분기 자동차 생산이 100만대 가까이 미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는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자동차 업계의 수요 예측 실패에 있다고 분석한다. 지난해 상반기 코로나19로 자동차 수요가 감소하자 자동차 업계에서는 차량용 반도체 발주량을 줄였다. 하지만 오히려 소비자들의 보복 소비로 인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자동차 수요가 반등하면서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내연차에서 전기차로 전환하는 추세 또한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차량용 반도체는 일반 차량에 평균 200개이다. 여기에 전기차는 2∼3배가 더 많이 들어간다.

최근 미국 택사스 한파로 2월 17일부터 오스틴 지역의 파운드리 공장 가동이 중단됨과 동시에 지난 19일에는 MCU 세계 생산 2위인 일본 르네사스에서 화재까지 일어나면서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부족 현상이 더욱 심화됐다. 이에 따라 반도체 부품 부족으로 제너럴모터스(GM)·포트·닛산 등 자동차 업체는 감산이나 공장 폐쇄로 이어졌다.

여기에 더 큰 문제는 차량용 반도체 물량을 단기간에 늘리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데 있다. 시스템 반도체에 비해 수익성은 낮은 반면에 자동차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훨씬 더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이 요구돼 차량용 반도체는 신규 업체의 진입 장벽이 높다.

차량용 반도체의 발주에서 실제 공급까지 걸리는 시간은 최소 12∼20주가 소요된다. 그러나 현재는 공급 부족 사태까지 있어 50주 이상으로 늘어났다.

지난달 30일 삼성전자 관계자는 "오스틴 공장은 지난주부터 정상화 단계에 진입했다"며 "현재 셧다운 전과 비슷한 수준까지 설비 가동을 끌어올리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업계는 3분기에는 물량 부족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다고 보고 있지만, 내년 연말까지 공급 부족 사태가 이어질 가능성도 전망했다.

[시사경제신문=김혜빈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