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에 없던 브리핑 열고 사망과정 및 향후 조사계획 밝혀
전문가 "이상반응 신고 급증 가능성 고려해 신속대응 중요"

정은경 질병청장이 3일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 반응 신고사례 및 조사 경과 등의 브리핑 열고,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질병청 예방접종피해조사반 등을 통해 접종과 사망 간의 연관성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 김주현 기자
정은경 질병청장이 3일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 반응 신고사례 및 조사 경과 등의 브리핑 열고,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질병청 예방접종피해조사반 등을 통해 접종과 사망 간의 연관성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 김주현 기자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4일 오전 11시 기준 총 3건의 사망 신고가 보고됐다. 전날까지 사망 2건이었으나, 4일 대전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20대 사망 사례가 추가로 신고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장을 맡은 정은경 질병청장은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에서 3일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열고,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질병청 예방접종피해조사반 등을 통해 접종과 사망 간의 연관성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은경 청장은 "이번 사안이 백신 자체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 대응을 준비 중"이라고 밝히고, 접종이 상당 부분 진행된 해외 주요 사례를 언급하면서 과도한 불안감은 자제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세계 각국에서도 접종 후에 기저질환자나 다른 원인으로 사망자가 다수 보고됐지만, 조사 결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이자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인한 사망으로 확인된 사례는 아직 없다"고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영국에서는 화이자 및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402명의 사망 사례가 보고됐고 독일에서도 113명이 사망한 것으로 신고됐지만, 이 가운데 백신 접종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확인된 것은 현재까지 없다.

한편, 국내 요양병원에 입원해 있던 환자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은 뒤 사망한 것으로 보고돼 예방접종과 사망 간에 인과성이 있는지 방역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질병청에 따르면 3일까지 접수된 사망자 2명은 모두 요양병원에 입원한 남성 환자로서, 50대 남성인 A씨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받은 후 약 11시간이 지난 뒤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호소했고 이날 오전 7시께 사망했다. 예방 접종을 한 지 약 21시간 반만이다.

또 다른 사망자인 60대 남성 B씨는 접종 후 약 33시간이 지난달 28일 늦은 오후께 발열, 전신 근육통 등의 증상이 발현된 후 한때 호전됐다가 다시 악화해 이날 오전 10시께 사망했다.

질병청은 이날 지난해 2020∼2021절기 독감 예방접종 관련 사례를 언급하며 코로나19 백신에 관한 내용을 설명했다. 지난 1일까지 접수된 독감 접종 관련 이상반응 신고 사례는 총 2천81건이고 이 중 사망 사례는 110건에 달하지만 백신 접종으로 사망에 이른 것으로 최종 판명된 사례는 한 건도 없다고 질병청은 전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설대우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는 불안감 때문에 이상반응 신고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부분을 지적했다.  오랜 기간 접종하면서 안전성이 담보된 백신도 아닌 데다 본인이 백신을 선택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사망 사례가 나오면 접종 대상자는 겁이 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설 교수는 "자세한 역학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환자의 나이와 요양병원 입원 등 건강 상태, 기저질환 유무, 사망 직전 보였던 증상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전문가 집단이 이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백신과 인과관계가 없는 사망 사례에 일희일비하는 것은 결국 국가적인 손해"라며 "빠르게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거의 유일하게 코로나19 종식을 바라볼 수 있는 수단이라고 생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세균 국무총리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일상 회복을 간절히 바라며 접종에 적극 동참해주고 계신 국민들을 위해 정부가 중심을 잡고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사망자가 발생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총력을 기울여 추가 사망 관련 건에 관한 역학조사 중이며, 의무 기록을 조사하고 시·도 신속대응팀과 질병청 피해조사반 검토 등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시사경제신문=이다인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