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부터 연말정산 때 민간인증서 사용 가능
비대면 가입 물론 지문‧홍채‧간편 비밀번호 활용

공인인증서가 10일부터 법접 지위를 상실하면서 민간인증서와 함께 전자서명 서비스 경쟁체제에 돌입하게 됐다. 사진=과기부 제공

[시사경제신문=이재영 기자] 공인인증서의 21년 독주가 끝났다. 공인인증서에 부여됐던 정부의 법적 지위가 폐지되면서 10일부터 공인인증서도 민간인증서와 함께 전자서명 서비스 경쟁체제에 돌입한 것이다.

지난 1999년 개발된 공인인증서는 주민등록증이나 인감 날인 등을 대신해 인터넷상에서 본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정된 증명서다. 특히 한국정보인증·금융결제원 등 6개 공인인증기관을 선정해 이들 기관만 공인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 

하지만 공인인증서는 불편함이 너무 컸다. 액티브 엑스(X)나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등 실행 파일을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 것은 물론 스마트폰이나 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하지만 10일부터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면서 편의성 등을 보완한 다양한 민간인증서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 활용해오던 공인인증서는 독점적 지위가 없어질 뿐 공동인증서로 이름을 바꿔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공인인증서가 패스(PASS)‧카카오페이·NHN페이코·토스 등 민간업체의 민간증명서와 경쟁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공인인증서 사용에 불편이 컸던 만큼 민간인증서가 빠르게 전자서명 서비스 시장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제 정부는 민간인증서를 적용할 수 있는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대면 방식이 아닌 비대면 방식으로도 공동인증서나 민간증명서에 가입할 수 있다. 

민간인증서를 사용하려면 지문이나 홍채 등 생체정보 방식이나 간편 비밀번호(PIN) 등을 활용하면 된다. 공동인증서도 클라우드에 저장해 모바일이나 PC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내년 1월부터는 근로자 연말정산과 주민등록등본 발급에 민간인증서를 활용할 수 있다. 공공기관 홈페이지에서 ‘간편 서명’ 메뉴를 클릭하고. 그 가운데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민간인증서를 선택하면 된다.

공인인증서 독점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한 업계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민간인증서인 패스는 지난 11월 말 기준으로 누적 발급 건수가 2,000만 건을 돌파했다. 공인인증서가 폐지되고 다양한 전자서명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정보통신기술(ICT) 역량과 막대한 영업력을 보유한 이동통신 3사가 가장 먼저 시장을 선도할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 이들 이동통신 3사는 패스를 통해 민간인증서 기반의 비대면 계좌 개설, 자동이체 전자서명, 전자상거래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현재 전자서명 서비스 시장에서는 카카오(카카오페이)와 이동통신 3사의 패스, 그리고 비바리퍼블리카(토스)가 누적 발급 2,000만 건을 각각 넘어서면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