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통계청 ‘2019년 광업·제조업 조사’ 결과 발표

지난해 우리나라 광업·제조업 부문이 만들어 낸 부가가치가 2017년보다 1.4% 감소했다. 반도체 단가 하락, 무역 분쟁 등의 영향으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사진=통계청)

[시사경제신문=정영수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광업·제조업 부문이 만들어 낸 부가가치가 2017년보다 1.4% 감소했다. 반도체 단가 하락, 무역 분쟁 등의 영향으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광업·제조업 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광업과 제조업 부가가치는 559조7,640억원으로 2018년(567조5,930억원)보다 1.4%(7조8,280억원) 줄어들었다. 

제조업 종사자 수 역시 전년 대비 0.9%(2만8,000명) 줄어든 294만명으로 집계됐다. 종사자 수가 줄어든 것은 2017년(-0.1%) 이후 2년 만이다.

제조업을 중화학공업과 경공업으로 나눠 보면, 전체 부가가치의 83.4%를 차지하는 중화학공업은 전년 대비 2.1%(9조8,270억원) 감소했고 경공업만 2.3%(2조530억원)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지난해 반도체 업황 부진이 여실히 드러난다. 지난해 전자산업 부가가치는 137조3,630억원으로 2018년 대비 6.0%(8조8,050억원) 줄었다. D램 등 반도체 부가가치는 4.7%(4조3,150억원) 감소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등 전자 부품은 5.3%(1조8,990억원), 휴대폰 등 통신·방송장비 부문은 17.6%(2조1,620억원) 급격히 감소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 출하가 줄어들면서, 기계·장비산업의 부가가치도 4.1%(1조9,190억원) 감소했다. 석유정제 산업 부가가치는 국제유가 하락, 석유제품 수출 감소 영향으로 5.7%(1조4,690억원) 줄었으며, 화학업종도 마찬가지로 5.1%(2조5,690억원) 하락했다.

반면, 자동차와 조선 등 운송장비 산업의 부가가치는 늘어났다. 자동차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친환경차 등 고가차량 판매 증가로 부가가치가 4.0%(2조1,540억원) 늘어났다. 조선산업 부가가치도 선박 건조량이 늘어난 영향으로 4.5%(7,200억원) 증가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