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64세 여성 중 대졸 이상 53만 명, 10년 전의 3배
근로 희망 높아도 고학력 여성 고용 부진, 대책 필요

고학력 여성의 고용이 부진한 가운데 55~64세 여성 대졸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고, 이들의 근로 의욕도 갈수록 높아져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고용노동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등과 ‘제2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성북구에서 개최된 여성 일자리 박람회. 사진=시사경제신문 DB

 

[시사경제신문=원선용 기자] 우리나라 여성 고용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에도 못 미친다. 지난 2018년 한국은행이 BOK경제연구에 게재한 ‘우리나라 고용 구조의 특징과 과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여성 고용률은 56.9%로 OECD 평균 60.1%에 못 미친다.

남성 고용률 76.3%와 비교할 경우 여성 고용률은 20%포인트 정도 낮으며, 남녀 고용률 격차는 OECD 국가 중 터키, 멕시코, 칠레에 이어 네 번째로 높다. 특히 고학력 여성일수록 고용이 부진하다. 실제 대졸 이상 남녀 고용률 차이는 26%포인트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이처럼 고학력 여성의 고용이 부진한 가운데 55~64세 여성 대졸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고, 이들의 근로 의욕도 갈수록 높아져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고용노동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등과 ‘제2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 앞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 고령층 가운데 상대적으로 젊은 55∼64세는 올해 5월 기준 403만9,000명으로 2010년 5월의 253만 명보다 59.6% 증가했다.

또 55∼64세 여성이 전체 고령층 여성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2010년 49.9%에서 올해 54.0%로 4.1%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이 연령대 여성 중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은 53만3,000명으로 2010년의 16만8,000명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 대졸 이상 학력자가 전체 고령층 여성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6.6%에서 13.2%로 상승했다.

55∼79세 남녀 고령층 가운데 앞으로 일을 하고 싶다는 의지를 나타낸 장래 근로 희망 비율의 경우 여성은 58.2%, 남성은 77.5%로 각각 나타났다. 2015년과 비교하면 여성의 장래 근로 희망 비율은 8.8%포인트, 남성은 3.0%포인트 높아졌다.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은 고령층 여성의 고학력화 등으로 노동시장 참여 욕구가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정책적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