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는 또 기업이 지역 부가가치를 점진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도 단계별 제조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 현재 휴대폰에 사용되는 부품과 액세서리에 대해 유행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가구, 플라스틱, 장난감, 저가의 소비재에 대해 확대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들 품목의 대부분은 현재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다.(사진 : 유튜브 캡처)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던 중국이 미-중 무역 갈등, 첨단기술전쟁 등으로 어려움에 처하고 있는 가운데, 인도가 중국에서 빠져 나오는 해외 유명 기업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인도를 세계의 제조공장화 해보겠다는 야심에 찬 행보를 하고 있다고 이코노믹 타임스가 10일 보도했다.

인도 정부는 230억 달러(273,309억 원)규모의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동남아시아와 인도 지역의 글로벌 제조기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어 인도 정부는 자동차, 태양광 패널, 가전제품용 특수철강 등의 분야에 대한 생산 연계 인센티브(PLI, production-linked incentives)를 제공할 예정이며, 섬유, 가공식품, 특수 의약품 제조업체 등을 추가 수혜 대상으로 고려 중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인도는 앞서 한국의 삼성전자, 폭스콘(Foxconn), 위스트론(Wistron Corp) 등을 포함한 약 24개 기업의 현재 휴대폰 생산 공장 설립에 대해 15억 달러(17,8215,000만 원)를 투자한 적이 있으며, 앞으로 5년 동안 해당 기업의 매출 증가분에 대해 4~6%에 해당하는 규모를 인센티브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그동안 인도 정부는 지난 분기 주요국 가운데 최악의 부진을 기록한 경제를 살리기 위해 투자 유치에 힘써왔다. 법인세는 이미 아시아에서 최하위권에 속하고 있는 반면, 부실 규정은 사업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정비됐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중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기업들의 첫 번째 선택이 되기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스탠다드 차타드(Standard Chartered Plc)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이 가장 선호하는 제조국가로 계속 선정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캄보디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태국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마단 사브나비스(Madan Sabnavis) 케어 레이팅스(Care Ratings Ltd)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러한 움직임은 특히 태양광과 전자제품과 같은 이른바 호황 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며, "투자유치를 위한 좋은 방법이고, 이들 분야에서 차이를 만들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또 기업이 지역 부가가치를 점진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도 단계별 제조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 현재 휴대폰에 사용되는 부품과 액세서리에 대해 유행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가구, 플라스틱, 장난감, 저가의 소비재에 대해 확대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들 품목의 대부분은 현재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인도 정부의 정책 싱크탱크인 국가개혁위원회(Niti Aayog) “이 두 프로그램의 세부 사항은 마련되고 있으며, 곧 연방 내각의 승인을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근 정부 자료에 따르면, 인도는 지난 331일 마감된 650억 달러 규모의 상품을 중국에서 수입한 반면 이웃나라에 대한 수출은 170억 달러로 무역적자 480억 달러를 기록했다.

[시사경제신문=김우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