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연구원 ‘한국판 뉴딜 금융지원 방안’ 보고서 제시

한국금융연구원은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한국판 뉴딜’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중 유동성을 활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사진=청와대)

[시사경제신문=강길우 기자] 한국금융연구원은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한국판 뉴딜’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중 유동성을 활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2일 한국금융연구원 이병윤 선임연구원은 정기 간행물 ‘금융브리프’에서 한국판 뉴딜 금융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4일 청와대에서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를 주재하고 “재정지출을 확대하고 미래를 위해 과감히 투자하겠다. 정부가 앞장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겠다”며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발표한 바 있다.

한국판 뉴딜은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사태 이후 국제 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국가발전전략이다. 디지털 뉴딜(디지털 경제 확산), 그린 뉴딜(환경보호 강화),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등 3가지 정책 방향을 담았다.

정부는 2025년까지 국고 114조 원을 직접 투자하고, 민간과 지자체까지 포함하여 약 160조 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일자리도 2022년까지 89만 개, 2025년까지 190만 개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병윤 연구원은 “최근 지속적인 저금리 상황에서 매우 풍부해진 시중 유동성을 뉴딜 사업에 끌어들일 수 있다면 시중 자금의 투자에 도움이 되고 뉴딜 사업의 규모도 커져 더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시중 자금은 단기성 투자자금이기 때문에 시장에 그냥 맡겨둬서는 뉴딜사업 투자로 이어지지 않는다”며 “공공부문이 초기 투자를 담당하는 한편 비용과 위험을 부담하고, 민간 자금에는 세제 혜택을 주는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금융권 공동기금을 설치해 다양한 뉴딜 프로그램에 직접 투자하거나 뉴딜 관련 사업을 하는 기업에 대출을 해주는 방안도 있다”면서 “정부가 제공할 보상은 비용이 될 수 있겠지만, 우리 경제가 어려움을 딛고 향후 지속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이 정도 비용은 지불할 만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