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탓, 성수기지만 고객 발길 ‘뚝’…해법 없는게 더 문제
서울 중구 롯데·신세계百 본점, 고객 수보다 직원 수가 더 많아
중소 백화점도 마찬가지…송파 NC 등 , 문 닫은 업체 부지기수

[시사경제신문=정수남 기자] #.

한국은 2011년 세계에서 9번째로 교역 1만 달러를 달성하면서 2008년 금융위기에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탈출했다. 다만, 이 같은 선전은 불황형에 불과했다. 이후 유럽연합 일부 국가의 재정난과 미국의 더딘 경기 회복,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이로 인한 신흥국의 침체 등으로 우리나라는 이중경기침체(더블딥)에 빠졌다.

이 같은 침체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2017년 상반기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실효성 없는 경제 정책과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국 확산이 맞물리면서 내수가 초토화 됐기 때문이다.

시사경제는 5회에 걸쳐 내수 상황을 살펴보고, 정부에 대응책 등을 제시할 계획이다.

[글 싣는 순서]
[코로나 급습 현장, 전통시장①] 서울 “우울증 걸릴 것 같아요”
[코로나 급습 현장, 전통시장②] 성남 “며칠째 개시도 못했습니다”
[코로나 급습 현장, 백화점③] “손님보다 직원이 더 많죠”
[코로나 급습 현장, 대형마트④] “3월 성수기? 옛날, 이야기죠”
[코로나 급습 현장, 가맹점⑤] “죽지 못해 삽니다, 문 닫아야 할 것 같아요”

“손님보다 직원이 더 많죠?” <롯데백화점 잠실점 관계자>

“직원밖에 안보이네요” <신세계 서울 중구 본점 관계자>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롯데백화점 서울 소공동 본점 앞 인도. 주말인데도 행인이 드물다. 2층 의류와 핸드백 등을 판매하는 본점 2층과 역시 같은 품목을 판매하는 서울 잠실점 2층 모습이다. 명품과 화장품 등을 판매하는 잠실점 1층에도 고객은 없고, 세일하는 매장에만 고객이 서너명 있다. 사진=정수남 기자

백화점을 비롯해 국내 유통계에는 3월이 성수기를 알리는 시기지만, 이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국내에 성행하면서 주요 백화점의 최근 상황을 함축한 말이다.

지난 주말 서울과 성남시 등에 있는 백화점을 찾았다.

우선 업계 1위인 롯데백화점 서울 소공동 본점을 지난 토요일 방문했다. 명동을 바라보고 있는 롯데백화점은 평소 외국인 관광객과 내국인이 북적이는 곳으로 이름났다.

반면, 최근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백화점 앞 인도 행인이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로 적다. 백화점 안으로 들어가자 화려함이 물씬 풍긴다. 대부분 백화점이 전략적으로 1층에 명품관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백화점 본점 역시 1층이 명품관이지만, 매장에는 검은색 제복을 입은 직원들만 보인다. 검은색이 고급스러운 색상이라 명품관 직원은 모두 검은색 정장을 입는다. 검은색이 아닌 옷을 입은 사람은 보기 어렵다.

2층 의류와 핸드백 등의 매장도 한산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코로나19 시대 용감한 고객 한둘 외에는 쇼핑객이 없다.

(위부터)신세계 백화점 서울 중구 본점 2층과 1층 명품관 전경. 역시 손님보다 직원이 더 많다. 사진=정수남 기자

2층 매장에 근무하는 오모 씨(28, 여)는 “2월 세일이 끝나고 3월은 신상품이 대거 들어오기 때문에 평소라면 앉아 있을 시간이 없다”면서도 “요즘에는 하루를 보내는 게 고역”이라고 말했다.

롯데백화점과 남대문로를 사이에 두고 있는 2위 신세계백화점도 상황은 비슷하다.

신세계백화점 명품관과 신사옥 명품관, 고급 의류 매장에는 역시 검은색 정장을 입은 직원만이 눈에 들어온다.

신세계 백화점 명품관에서 일하는 서모 씨(31,여)는 “평소 3월 신학기에는 부모와 자녀가 졸업과 입학 선물을 구매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며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직원 외의 사람을 보는 게 행운”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백화점 업계 측은 평소대비 3월 매출이 10% 선에 머물 것으로 추정했다. 코로나19가 국내 발현하기 시작한 1월 국내 백화점 매출은 전년 동월보다 2.5% 늘었다.

다음날 롯데백화점 잠실점과 송파 가든파이브에 있는 NC백화점, NC계열인 성남 모란 뉴코아백화점(아울렛) 등을 각각 찾았다.

(위부터)롯데월드 어드벤처의 지난 일요일 모습과 지난해 9월22일 일요일 모습. 평소 주말에는 입장권을 구매하는데만 9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 사진=정수남 기자

이중 롯데월드타워와 함께 잠실역 상권을 주름잡고 있는 잠실점 역시 고개보다 직원들이 더 많다. 2층 의류 매장에서는 삼삼오오 모여 있는 여성들이 보인다. 직원과 손님이 아닌, 직원과 직원들이다. 종일 매장에 손님이 없자 각 매장 직원들끼리 모여 대화로 무료함을 달래는 것이다.

롯데월드가 도심 속 놀이공원으로 만들어 성공한 롯데월드어드벤처 역시 평소 주말의 0.1%도 안되는 사람들만 보인다.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이다.

평소 주말 롯데월드어드벤처에는 1만여명의 외국인과 내국인 등이 놀이기구 등을 타기 위해 들른다. 다중 시설의 경우 코로나19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 최근 롯데월드어드벤처가 고객 기피 대상 1호가 된 셈이다.

롯데월드어드벤처 티켓박스에서 근무하는 이모(27, 여) 씨는 “평소 주말에는 입장권을 사기 위해서만 90분 이상 줄을 서야한다”면서도 “이달 주말 이곳을 찾은 고객은 없는거나 진배없다”고 설명했다.

서울 끝자락에 자리한 가든파이브를 가기 위해 서울지하철 8호선에 올랐다. 역시 승객은 드문드문하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가든파이브에 입점한 점포들의 이벤트로 평소 북적이던 가든파이브 광장에 보안요원(가운데)만 광장을 지키고 있다. NC백화점에 입점한 많은 점포들이 문을 닫았으며, 문을 연 점포들도 대규모 할일을 진행하지만 손님은 없다. 사진=정수남 기자

장지역에서 내려 가든파이브로 들어가는 길목에도 행인이 적다. 평소 주말에는 인근 문정동과 장지동, 위례신도시, 성남 복정동과 성남 구도심 등 주민들이 대거 이곳을 찾는다.

가든파이브에 백화점과 대형마트, 결혼식장, 복합상영관, 가구와 공구 판매점 등이 대거 입점해서 이다.

코로나19 여파는 가드파이브 광장에 고스란히 나타났다.

이곳은 평소 주말에는 입점 업체들이 대규모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는 장소로 사람들이 북적이는 곳이지만, 지난 일요일 모습은 행인은 적고 보안요원만이 유독 눈에 띤다.

이랜드그룹의 NC백화점 역시 가든파이브 광장의 연속이다. 손님이 보이지 않고, 문을 닫은 매장을 쉽게 볼 수 있다. 문을 연 매장도 주인 혼자 스마트폰에 열심이다.

이곳에서 신발 가게를 운영하는 김모 사장은 “하루 종일 앉아 있기가 힘들다”며 “요즘 손님 보기가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이곳에서 다시 지하철 8호선을 타고 종점인 모란역에서 내렸다. 지하철 역사와 연결된 뉴코아백화점으로 들어가는 통로에 GS리테일의 랄라블라가 자리하고 있다.

점주와 아르바이트생만이 가게를 지키고 있다.

서울지하철 8호선 종점인 모란역과 연결된 성남 뉴코아백화점도 한산하다. 대규모 할인을 진행하는 이벤트 매장에도 손님이 없다. 사진=정수남 기자

점주는 최근 고객 현황을 묻자 “말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1, 2층 의류와 신발 매장 한 켠에는 이벤트 매장이 있다. 최고 80∼90% 가격을 할인하는 침구류 매장과 여성복 매장이다. 고객은 ‘0’.

문제는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이 없다는 데 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출입구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고 의심환자를 걸러내고 있다”며 “매장을 매일 소독하고, 곳곳에 손 세정제를 비치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못된다”고 부연했다.

신세계 백화점 관계자도 “소비자들이 움직이지 않아 올해 상반기 장사는 물 건너 갔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