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사이에 평형 따라 1억~3억씩 올라
재건축 붐에 분양가상한제 제외로 수요 몰려

양천구 목동 5, 6단지 아파트 매매가가 재건축 추진과 분양가상한제 회피 등과 맞물려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다. 사진=백종국 기자

 

[시사경제신문=백종국 기자]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의 가격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 부동산값 상승을 억제하려는 정부의 여러 조치에도 불구하고 오름세가 꺾이지 않고 오름 폭도 작지 않은 것이다.

한국감정원 발표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111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주 대비 0.09% 올랐다. 양천구는 지난주 대비 0.11% 올라 평균 0.13% 오른 서초·송파·강남·강동 등 강남4구의 뒤를 이었다.

양천구에서는 거주 선호도가 높은 목동 신시가지 내 평형 갈아타기와 인근 신축 단지 수요로 가격이 올랐다는 분석이다. 전세가 역시 서울은 지난주 대비 0.08% 올랐는데 양천구는 목동신시가지 위주로 0.16%나 올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9월 목동 5단지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은 전용면적 65.08123000만원, 95.28164500만원, 115.47203000만원, 152.85225000만원이었다.

지난해 거래가 많았던 7~8월 시세와 비교해 볼 때 불과 1년 남짓한 사이에 65.0812500만원, 95.2814000만원, 115.4731000만원이 오른 것이다.

목동 6단지의 경우, 지난 9~10월의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은 47.7492375만원, 65.1124750만원, 95.03149000만원, 115.19185000만원이었다. 거래가 많았던 지난해 7~8월 시세에 비해 47.745775만원, 65.117850만원, 115.191700만원 올랐다.

5단지 인근 부동산 공인중개사들은 “10월에는 오름세가 더 커졌는데 가장 인기 있는 35평형(95.28)185천만~19억 원, 55(152.85)23~24억 원을 호가한다고 밝혔다.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심리로 매물을 거두고 있어 매물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부동산 오름세에 거래가 많아졌지만 정부의 부동산거래 합동조사가 이어지자 일대 부동산소개소의 공인중개사들은 조사를 피해 자리를 비운 경우가 많았다.

공인중개사들은 5월부터 목동 아파트 거래가 는 것은 일시적 1가구2주택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 많았고 10월부터는 강남 아파트값 오름세의 영향이 컸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목동 일부 아파트 단지가 최근 재건축 붐을 조성하고 있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6단지는 연말연시쯤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기다리고 있고 5단지는 10월 정밀안전진단을 신청하며 분위기를 띄우고 있으며 9단지는 안전진단 비용을 모금 중인 상황이다. 목동 아파트 단지가 워낙 튼튼하게 지어져 10년 내에 재건축에 돌입할 거라고 예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지만 목동의 탁월한 재건축 조건은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교통과 인프라는 강남보다 떨어지지만 현재 5단지의 용적률은 117%, 6단지의 용적률은 139%로 대지 지분이 많아 재건축 사업성이 매우 좋다. 4~14단지는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최대 용적률 300%이며, 1~3단지는 재건축 본격 추진에 앞서 최대 용적률 250%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300%3종 지역으로의 종 환원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에서 목동이 제외된 것도 목동의 재건축 붐에 기름을 끼얹은 셈이 되었다. 분양가상한제 지정에서 제외되어 재건축 아파트 투자자들이 목동으로 상대적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목동이 가진 교육특구로서의 장점도 무시할 수 없다. 목동 5, 6단지로 이사 오면 자사고, 특목고 진학률이 가장 높은 월촌중학교(남녀)와 양정중학교()100% 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자사고 폐지, 정시 확대가 아직은 먼 얘기로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근 부동산소개소 공인중개사는 학원가가 인접하고 유해시설이 없는 등 교육환경은 목동을 따라올 곳이 없다. 문래·신도림·광명 등에 살던 사람들이 아이들 학원 보내려 전세로 들어왔다가 매입에 나서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목동의 재건축 추진과 가격 급등으로 이 지역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