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철도망 2배로 확충키로
대도시권 방향 담은 '광역교통 2030' 선포

정부가 광역거점간 통행시간을 30분대로 단축하고 통행비용 최대 30% 절감하며 환승시간을 30% 감소 등을 목표로 한 '광역교통 2030'을 발표했다. 자료=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제공

[시사경제신문=정혜인 기자] 광역거점간 통행시간을 30분대로 단축하고 통행비용 최대 30% 절감하며 환승시간을 30% 감소시킨다. 정부가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세계적 수준의 급행 광역교통망 구축하고 버스·환승 편의증진 및 공공성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또 광역교통 운영관리 제도 혁신하고 혼잡·공해 걱정 없는 미래교통을 구현하겠다고 덧붙였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31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이 같은 4대 중점 과제와 대도시권 권역별 광역교통 구상을 담은 ‘광역교통 2030’을 발표했다.
 
‘광역교통 2030’에 따르면 우선 정부는 주요 거점을 30분대에 연결하는 광역철도망을 구축키로 했다. 수도권급행철도 A노선(’23), 신안산선(’24)은 계획대로 차질없이 준공하고, 수도권급행철도 B·C노선은 조기 착공을 적극 추진, 수도권 인구의 77%가 급행철도의 수혜를 받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추가적으로, 급행철도 수혜지역 확대를 위해 서부권 등에 신규노선도 검토한다. 이와 함께, 4호선(과천선) 등 기존 광역철도 노선을 개량하여 급행운행을 실시하고, 인덕원~동탄 등 신설되는 노선도 급행으로 건설하여 급행 운행비율을 현재의 16%에서 35%(’30)로 2배 이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여기에 유기적인 철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수인선(’20)으로 동서축, 대곡~소사 간 철도(’21)로 남북축을 보강한다.

신교통수단을 적극 도입해 성남 트램 등 GTX 거점역의 연계 교통수단 및 대전 2호선 트램, 위례 신도시 트램 등 지방 대도시와 신도시의 신규 대중교통수단으로 트램을 활용할 계획이다. 도시 내부에서는 트램으로, 외곽지역 이동시에서는 일반철도로 빠르게 이동하여 접근성과 속도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트램-트레인’ 도입도 검토한다.

또한 수도권 외곽 순환고속도로망을 조기에 완성하여 도심 교통량의 분산을 추진하는데, 제1순환고속도로의 교통흐름 개선을 위하여 상습정체구간 2곳(서창~김포, 판교~퇴계원)의 복층화를 검토하고, 제2순환고속도로는 미착공 구간의 조속 착수를 통해 20’26년 전구간 개통을 계획 중이다. 수도권 동서횡단축 등 주요 간선도로(연구용역 중), 부산·울산권 사상~해운대(민자적격성 조사 중) 등에 지하부는 자동차, 지상부는 BRT․중앙버스차로 등 대중교통차로로 활용하는 대심도 지하도로 신설도 검토 예정이다.

버스·환승 편의증진 및 공공성 강화를 위해서는 우선 M버스 운행지역을 지방 대도시권까지 확대하는 등 운행노선을 대폭 확충하고, 정류장 대기 없이 M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 노선으로 예약제를 확대(’22)할 계획이다.
 
남양주 왕숙, 인천 계양, 부천 대장 등 3기 신도시에 전용차로, 우선신호체계 적용 등 지하철 시스템을 버스에 도입한 S-BRT를 구축할 계획이며 아울러, 청라∼강서 2단계 등 광역BRT 구축 사업을 지속 확대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BRT를 S-BRT 수준으로 업그레이드해 나갈 예정이다.
 
속도 경쟁력과 대용량 수송능력을 갖춘 고속 BTX(Bus Transit eXpress) 서비스를 도입하여 기존 광역버스보다 이동시간을 30% 이상 단축하고, 고속 전용차로와 함께 정체가 심한 종점부 구간에는 지하에 전용차로 및 환승센터를 설치하여 이동속도를 30% 이상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용역을 거쳐 마련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도심형(삼성역 등), 회차형(청계산입구역 등), 철도연계형(킨텍스역 등)으로 환승센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광역버스 노선을 환승센터에 연계되도록 개편하는 등 대중교통 운행체계를 환승센터 중심으로 재정비하여 환승시간을 최대 30% 단축할 예정이다.

교통비를 최대 30% 절감할 수 있는 광역알뜰교통카드를 2020년부터 본격 시행하고, 신도시 등 교통소외지역에 안정적 서비스 제공과 광역버스 서비스 개선을 위한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20 시범사업)하여 정류장 대기시간과 차내 혼잡을 줄이는 등 이용편의를 대폭 향상할 계획이다.

광역교통 운영관리 제도 혁신을 위해서는 쪼개기·연접개발 방식으로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을 회피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선대책의 수립기준을 50만㎡ 또는 1만 이상으로 2배 강화할 예정이다. 광역교통개선사업 지연 등으로 신도시 초기 입주단계에서 나타나는 교통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제도를 도입, 광역버스 운행, 환승정류장 설치 등 즉시 시행 가능한 특별대책을 수립·시행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마음껏 숨쉴 수 있는 대중교통 중심 도시 실현을 위해 내년부터 광역버스 노선에 2층 전기버스를 운행하는 등 대중교통 수단을 CNG, 수소 등 친환경차량으로 전환하고, 역사 등에 공기정화시설을 확충하여 ‘미세먼지 안심지대’로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

교통위원회는 이번에 발표한 '광역교통 2030'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2030년 고양(일산) → 서울역 구간 30분, 인천(송도) → 여의도 구간 38분, 남양주 → 서울역 구간 36분, 화성(동탄) → 강남역 구간 35분으로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광역알뜰교통카드를 활용하여 대중교통 이용 마일리지로 광역교통비를 최대 30% 절감되고, 환승센터 중심 교통수단의 연계를 강화하여 환승·대기시간이 30% 이상 단축되며, 광역철도의 수송능력 증대, 2층 전기버스 운행 등으로 광역대중교통 혼잡도도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최기주 위원장은 “광역교통 2030의 세부과제별 추진계획을 철저히 마련하고 관계 지자체와 적극 협력하여 광역거점간 통행시간 30분대로 단축, 통행비용 최대 30% 절감, 환승시간 30% 감소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