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부처 합동,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 발표
인프라 구축으로 수소경제 본격화 한다

정부가 수소충전소 확충으로 수소경제를 본격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진=국토부 제공

 

[시사경제신문=백종국 기자]  정부가 수소 공급 인프라 및 충전소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2022년에는 현재 운영 중인 인프라 31기의 10배인 310기가 전국에 들어선다.

정부는 2022년까지 일반 수소충전소 및 버스 전용충전소를 주요 도시에 250기, 고속도로·환승센터 등 교통거점에 60기 등 총 310기를 구축하며, 올해말까지 이 중 86기(누적, 착공포함)를 구축할 계획이다. 산업부, 국토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22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을 수립·발표하였다.

정부는 수소 생산 방식 다양화, 저장·운송 인프라 확충을 통해 증가되는 수소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고, 수소 가격을 지속 안정화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2년 수소차 6만7000대 보급목표 달성 시, 연간 약 3만톤의 수소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지역별 특화된 방식의 수소 생산 및 저장·운송 방식을 통해 이러한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먼저  ‘수소유통센터’ 설치를 추진하여 적정 수준의 수소 가격을 유지·관리하고, 장기적으로 대용량 튜브트레일러 제작, 파이프라인 건설, 액화 운송 확대 등을 통해 시장 중심의 수소 가격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수소 가격은 2022년 6천원/kg, 2030년 4천원/kg, 2040년 3천원/kg을 목표로 추진한다.

또한 등록자동차 수, 인구 수, 지자체 면적, 수소차 보급량, 교통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광역지자체별로 균형 있게 수소충전소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2022년까지 전국 주요 도시에 누적 250기를 구축함으로써 수소차 운전자가 최대 30분 이내에 수소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고속도로 등 교통거점에는 2022년까지 누적 60기를 구축하여 수소차의 장거리 운행을 지원하고,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누적 660기를 구축하여 주요 도시에서 20분 내, 고속도로에서 75km 내 충전소 이용이 가능하도록 배치하고, 2040년에는 누적 1,200기를 구축하여 이를 15분, 50km 이내로 단축할 예정이다.

수소충전소 구축 초기에는 구축 목표 달성과 원활한 충전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정부 재정 지원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또한 융복합·패키지형 수소충전소를 확대하여 입지 및 구축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수소충전소의 장기적인 구축 비용 절감을 위해서 핵심부품 국산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기체수소 충전소 대비 설비 면적은 1/20, 충전용량은 3배, 상압 수준의 저장압력, 낮은 설치·운송비 등의 장점이 있는 액화수소 충전소도 2022년까지 3기 이상 구축하는 등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수소차 이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10월중 양방향 정보제공 플랫폼(베타버전)을 구축하고, 충전 속도를 향상한 충전소 모델을 개발하여 수소 충전 대기시간을 절감한다.

이밖에 수소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해 공공청사와 혁신도시, 수소 시범도시 등에 충전소를 우선 구축하고, ‘수소충전소 정책 협의회(가칭)’를 설치하여 충전소 관련 애로사항을 신속히 해결할 계획이다.

최근 수소 설비 관련 국내·외 사고로 관심이 높아진 수소충전소의 안전에 대해서는 법·기준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강화하고, 수소 안전관리 전담기관을 설치하여 철저하게 관리한다.

정부가 이번 방안을 통해 전국 각지의 수소 공급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지자체와 민간 사업자, 수소차 이용자의 수소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