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인구 작년 처음으로 14% 초과
서울 총인구 올 연말~내년 초 1천만 명 이하 예상

지난해 노인 인구가 14.4%에 달하며 서울시가 노령 사회로 들어섰다. 자료=서울시 제공

 

[시사경제신문=백종국 기자]  서울이 나이들어 가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가 크게 는 반면 생산 가능 인구는 줄어 부양비 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다.

2018년 말 서울시 전체 인구는 1,004만9,607명으로 이중 65세 이상 인구가 14.4%를 차지, 처음으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2018년 말 서울시 등록 인구는 내국인 9,765,623명, 외국인 283,984명 등 총 10,049,607명이었다. 이 중 65세 이상 인구는 141만 명(14.4%)이었다. 유엔은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 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지난 2005년 ‘고령화 사회’(7%)에 진입한 데 이어 지난해 말 ‘고령 사회’(14%)에 들어서고 이와 같은 노령인구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2026년 ‘초고령 사회’(20% 이상)에 진입할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서울시는 작년 말 ‘고령사회’에 첫 진입한 가운데 생산 가능 연령층(15~64세) 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2018년 34.1%) 노령인구 증가와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3년 간 노년(65세 이상) 인구비는 매년 평균 0.6%p 증가한 반면, 유소년(14세 이하) 인구비는 평균 0.3%p 감소했다. 또 2014년을 기점으로 노년 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넘어서며 그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

서울시 총 인구 변화. 자료=서울시 제공

 

서울시 인구의 자연증가(출생자 수-사망자 수)가 지속 감소 추세인 가운데 출생자 수는 급격하게 감소하는데 비해 사망자 수는 소폭 증가한 결과로 풀이했다.

서울시 전체인구와 서울시 등록 내국인 수는 2010년 이후 꾸준히 감소 추세인 반면, 서울 거주 외국인은 1995년 4만5000여 명에서 지난해 28만4000여 명으로 23년 만에 6배 이상 증가했다.

또 서울시는 최근 3년 간 서울시 순전출 인구(전출자 수-전입자 수)가 평균 8만 명 이상인 것을 고려했을 때 올해 말~내년 상반기 서울시 등록인구가 1천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서울시 인구감소의 가장 큰 요인은 ‘경기도 지역으로 전출’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에는 46만여 명이 서울로 전입하고 57만여 명이 전출해 순전출 인구는 11만 명이었다. 순전출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13만5,216명), 서울시로의 순전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도(2만5,321명)였다.

서울시 전입자는 1999년 약 67만여 명 이후 감소해 2018년 46만여 명이었으며, 서울시 전출자는 1995년 88만3000명 이후 감소해 2018년에는 57만여 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순전출이 가장 많은 경기도의 경우 작년 한 해 서울로 전입자가 23만3000여 명, 서울에서 경기도로 전출자가 36만8000여 명이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