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소득증가 보다는 부채부담 커져... 통계청 발표

[시사경제신문=김우림 기자]‘임금인상-근로자소득 증가-소비증가-기업성장-경제성장-임금인상’의 호순환 구조로 우리 경제를 끌어올리겠다는 정책의지로 시행한 소득주도성장, 이른바 ‘소주성’ 정책이 패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현 정부의 정책 골간인 소주성 정책에도 불구하고 근로자들의 소득증가 보다는 부채부담만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정책 타깃으로 여겨온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기업 근로자일수록 외려 부채부담이 버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고소득·대기업 종사자에 비해 부채 상환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잠정 평균 대출은 4076만원으로 전년대비 7.4%(281만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자료=통계청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잠정 평균 대출은 4076만원으로 전년대비 7.4%(281만원) 증가했다.

3개월 이상 연체금액을 대출잔액으로 나눈 연체율은 0.56%로 1년새 0.05%포인트 상승했다. 대출이 늘어난 만큼 연체 또한 증가했다는 의미다.

눈여겨 볼 통계치 가운데 하나는 근로자의 소득이 높고 근무하는 회사의 규모가 클수록 대출잔액은 많았지만 상환에는 큰 무리가 없었다. 오히려 대출 규모가 크지 않은 저소득층의 연체율이 더 높았다.

1억원 이상 소득을 올린 근로자의 평균대출은 1억4066만원으로 3000만원 미만(2600만원)의 5.41배에 달했다. 반면 연체율은 3000만원 미만(0.70%)이 1억원 이상(0.11%)보다 6배 이상 높았다.

대기업 근무자와 300인 이상 종사자 평균대출은 각각 6515만원, 5372만원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50인 미만 종사자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는 3000만원대로 이보다 크게 낮았다. 하지만 대기업과 300인 이상의 연체율은 각각 0.27%, 0.25%에 그쳤고 중소기업(0.88%)과 50인 미만(0.95%)은 1%대에 육박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아파트 거주자 평균대출이 4997만원으로 단독주택(2642만원)과 오피스텔 및 기타거주자(3022만원)을 크게 웃돌았다. 연체율은 오피스텔·기타(1.16%)와 단독주택(1.12%)이 아파트(0.37%)보다 3배 이상 높았다.

비은행의 비중이 큰 것이 연체율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1억원 이상을 버는 근로자의 은행 대출액 비중은 74.4%에 달했지만 3000만원 미만 소득자는 52.7%에 그쳤다.

나머지 절반 가량(47.3%)은 다소 금리가 높은 비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것이다. 대기업 종사자의 은행 비중(70.8%)도 중소기업(57.5%)보다 큰 차이가 났다. 아파트 역시 은행 비중이 68.3%였지만 단독주택은 비은행(54.4%) 대출이 더 많았다.

근로자 성별과 연령층 편차도 컸다. 남자의 평균대출은 5138만원으로 여자(2747만원)의 1.87배(2391만원)에 달했다. 아직까지 결혼 시 남자측에서 주택을 구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대출 규모 또한 큰 것으로 풀이된다.

노년층인 60~69세는 연체율이 유일하게 1%대(1.00%)를 기록했다. 은퇴 시점과 맞물려 소득이 크게 줄면서 연체율도 높게 형성했다는 게 통계청 분석이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