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력적이지 않은 가맹 혜택, 불편한 결제 시스템으로 소비자는 물론 가맹점까지 부정적 반응

[시사경제신문=김강희 기자] 카드수수료 부담을 없애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제로페이’가 소비자는 물론 최대수혜자인 소상공인들에게마저 외면받고 있다.

서울시가 야심차게 발표한 '제로페이'가 소비자와 소상공인들에게 차가운 반응을 얻고 있다. 사진=김강희 기자

제로페이는 은행이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현금을 이체하는 방식으로 결제를 해 소상공인들이 카드수수료를 내지 않도록 하는 간편결제 시스템이다. 서울시는 소득공제 우대 혜택과 가맹점 수수료면제(전년도 매출액 대비 8억 원 이하), 공공시설이용료 할인 등 제로페이 사용시 이점에 대해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 김종석 국회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개인카드 결제 건수 15억6,000만 건 중 제로페이 결제는 8,633건으로 0.0006%에 불과했다. 결제 금액도 58조1,000억원 중 0.0003%인 1억9,949만원에 그쳤다.

서울시는 지난 3월 말 25개 자치구 유치 실적을 평가해 특별교부금 300억원을 차등 배정해 지급하는 등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가맹점 확보를 위해 업무 관련이 없는 동주민센터 직원들까지 동원해 가맹점을 확보하려 해 ‘관제페이’라는 비아냥을 사기도 했다.

냉담한 반응은 소비자뿐만 아니라 가맹점으로도 이어진다. 강서구 제로페이 가맹점인 한 식당 직원은 “익월 15일이 지나야 대금을 받을 수 있고, 신용카드매출발행 공제세액 중 제로페이 결제는 공제를 받지 못한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어 “카드수수료가 낮아진 상황에서 제로페이 필요성을 체감하지 못하겠다”고 말했다. 주문취소나 결제변경, 입금확인은 제로페이와 연계돼 있는 휴대전화 앱으로만 가능한 시스템의 불편함도 지적했다.

게다가 고객들 결제건수가 낮아 제로페이 필요성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휴대전화를 꺼내 앱을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한 결제시스템이 주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소득공제율이 최대 40%라고 홍보하고 있지만 아직 조세제한특례법은 국회 계류 중이다. 포인트 적립 등 부가서비스도 없어 소비자 사용을 유도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다.

서울시는 가맹점에 사용자 QR 코드를 인식하는 POS시스템 등 결제 과정 간소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또 모바일티머니 앱을 통해 제로페이 사용 시 결제액의 1~2%를 T-마일리지로 돌려주고, 한강공원이나 어린이대공원 등 390여 개 서울시 공공시설에서는 제로페이 할인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프로모션도 제공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