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한화·애경 등 인수전 참여…시장 신뢰 회복 방안이 관건

그룹 매출 60% 이상 차지 ‘알짜기업’ 부실화 원인 잘 살펴야

금호아시아나그룹이 15일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공식 발표했다. 앞으로 본격화될 인수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 아시아나항공 제공

 

[시사경제신문 김종면 기자] 국내 항공산업이 백척간두에 섰다. 대한항공이 조양호 회장의 별세로 경영에 비상이 걸린 데 이어 아시아나항공이 매각 수순을 밟으면서 양대 국적 항공사가 동시에 난기류에 휩싸였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이 15일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공식 발표함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은 설립 31년 만에 그룹에서 분리되게 됐다. 아시아나항공 매각 결정은 지난 11일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그룹 측의 자구계획안을 반려하면서 이미 예견됐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매각주간사·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등 매각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관심을 모으는 것은 앞으로 본격화될 인수전의 최종 승자가 누가 될 것이냐 하는 것이다. 우선 거론되는 후보군으로는 SK, 한화, 애경그룹이 꼽힌다. 롯데, CJ, 신세계, 호텔 신라 등도 물류·유통사업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인수를 고려하고 있어 만만찮은 복병이 될 것으로 보인다.

SK그룹의 지난해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그룹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에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정식으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풍부한 자금력으로 인수전에 뛰어들 경우 가장 강력한 후보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한화그룹은 국내 유일의 항공엔진 제조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다. 지난해에는 저비용항공사(LCC)인 에어로케이에 투자를 하기도 했다. 국내 1LCC 제주항공을 보유하고 있는 애경그룹도 유력한 후보다. 업계에서는 애경그룹이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만큼 전략적 투자자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신세계그룹도 항공산업 진출에 꾸준한 관심을 보여왔다. 2015년 아시아나항공 최대주주인 금호산업이 매물로 나왔을 때 인수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2017년에도 티웨이항공 인수를 시도한 적도 있다.

물류업계 1위 자리를 놓고 다투는 롯데그룹과 CJ그룹 간의 인수 대결도 관심사다. 물류업계의 강자 CJCJ헬로비전 매각으로 현금 여력이 상당한 편이다. 롯데는 최근 통합물류회사 롯데글로벌로지스를 출범시키며 CJ대한통운을 따라잡겠다고 선포했다. 롯데는 물류뿐 아니라 유통, 면세업도 겸하고 있어 항공업에 진출할 경우 적잖은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호텔 신라 또한 면세·호텔사업과 연계한 싱승 효과를 기대하며 인수전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영 정상화를 위한 최선의 방안으로 결정 난 것이 매각이다. 3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아시아나항공의 운명은 이제 새로운 주인의 손에 달렸다. 땅에 떨어진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급선무다. 아시아나항공은 자사는 물론 대한항공의 전비(前非)’까지 반면교사로 삼으며 새로운 항공산업의 미래를 설계해야 한다.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은 지난달 28일 만성화된 그룹 유동성 위기에 대한 책임을 지고 회장직을 비롯한 계열사 임원직을 모두 내려놨다. 박 회장의 퇴진은 스스로 용퇴한 모양새이지만, 부실 경영의 책임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아시아나항공의 위기는 대한항공과 달리 채무와 실적 악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대한항공은 2014땅콩회항사태 이후 끊임없는 가족 갑질논란으로 회사의 이미지가 실추될 대로 실추됐다. 아시아나항공 또한 꼼수회계파문에 기내식 대란’, 박 회장의 성희롱 구설까지 국민의 신뢰를 잃은 일이 한 둘이 아니다.  '오너 리스크'가 작지 않다. 대한항공도  아시아나항공도 (正道) 경영과는 거리가 멀다. 

두 항공사의 경영권을 하루 빨리 안정시켜야 한다. 환경이 녹록지만은 않다. 항공운수권 확보도 예전과 같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저가항공사들은 장거리 노선 확대와 대형기 도입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항공 투톱 일가의 갑질 논란이 이어지면서 항공산업의 진입 장벽을 낮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금호아시아나그룹 매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알짜항공사의 경영권을 어느 기업에 넘겨줘야 할까. 무엇보다 시장 신뢰 확보를 제일의적인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