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신문=김우림 기자]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이 떠안는 카드수수료는 적지 않은 경영 부담 요인이다. 알바생들의 최저임금까지 크게 올라선 상황에선 더욱 부담 가중치는 버거워진다. 사회적 약자 보호에 시정(市政)의 주안을 두고 있는 서울시가 그래서 ‘제로페이’ 추진에 혼신하고 있다. 그러나 수수료를 제로로 하려는 정책 목표 구현이 쉽지만은 않은 양상이다.

제로페이 사업은 민선7기 박원순 서울시장의 대표 공약이다. 그래서 서울시, 산하 각 구청과 중소벤처기업부 등이 이 사업 성사에 혼신하는 것이다.

핀테크의 거센 물결 속에서 모바일결제 시스템인 제로페이는 어차피 가야할 길이다. 결제 간편성과 편의성은 소상공인들만의 혜택이 아니다. 다수 서울시민의 후생이기도 하다. 특히 세제 지원까지 있어 금융소비자에 대한 유인(誘因)도 적지 않다.

이런 대세를 읽고 서울시는 제로페이에 매달리고 있는 셈이다. 사업은 지난해 12월 20일 소상공인의 결제수수료 부담을 완화한다는 취지 아래 시범서비스를 개시했다. 제로페이 서울은 결제 카운터에 비치된 QR코드를 스마트폰앱으로 인식하면 사용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금액이 이체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다.

제로페이는 신용카드나 현금이 없어도 된다. 모두들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스마트폰만 있으면 된다. 이를 통해 결제가 바로 가능하다. 소상공인 판매자의 결제수수료 부담이 크게 줄고 소비자는 40%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본지는 제로페이에 대해 현장 취재를 나가봤다. ‘된다 안된다’ 말이 많은 이 사업의 성패 여부에 대해 실사해 본 것이다.

제로페이 결제를 위해 주거래은행의 간편결제 앱인 ‘Liiv’(리브)를 휴대폰에 설치해 실제 일선 가맹점포에 가서 이를 사용해 봤다. 취재 결과 제로페이 시범 사용은 제로페이가 안고 있는 문제와 가능성을 모두 보여주었다. 제로페이는 아직 인프라가 완벽히 정비되지 않은 상태로 드러났다. 사업이 착근돼 현실화되기까지는 다소의 시간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뤄 이를 취재한 기자의 시각은 부정적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현재로선 제로페이가 정착되기 위해선 결제시스템 인프라 정비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 당장 이용객이 적다고 사업을 접는다는 속단은 금물이라는 것. 소상공인과 서울시민이 제로페이의 혜택을 향유하게 되면 폭발적 성장 가능성도 있다는 진단이다.

금융(finance)과 ICT의 결합, 핀테크는 금융혁신의 총아다. 이의 구체적 산물인 제로페이는 어차피 가야할 길이다. 장정(長征)의 길이 험난하다고 포기할 수 없는 노릇이다.

제로페이 가맹점은 현재로선 9만 여곳에 불과하다. 전체 업소의 15% 정도다. 그것도 제대로 결제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곳이 많다. 실제로 운영하는 가맹점은 미미한 상태인 셈에다. 제로페이 사용 실적은 아직 신용카드 대비 0.0005%에 불과하다는 통계다.

아직은 결제 인프라 구축 등 해야 할 것이 많다. 그러나 일은 진척되고 있다. 다행히 제로페이가 갖고 있는 약점들은 서서히 보완되어 가고 있다. 서울시와 중소벤처기업부는 보편화돼 있는 포스(POS)기와 연동해 점포 직원이 바코드를 찍으면 결제금액이 자동으로 요청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개선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이르면 내년 4월 완료할 전망이다.

제로페이는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선 여러 가지 제약 조건으로 활성화가 요원한 듯하지만 우보호시(牛步虎視) 자세로 정진하면 사업 성공이 머지 않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