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 향상 및 도시 지속가능성 제고 위해 실증도시 2곳 선정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 실증도시 2곳을 선정하고, 사업을 본격 착수한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 실증도시 2곳을 선정하고, 사업을 본격 착수한다.

공통 핵심기술 개발과제와 2개의 실증연구과제로 구성되며, 올해부터 22년까지 총 1,159억 원 규모의 연구비를 투입해 도시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한국형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모델’을 개발한다.

사업단인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세부 과제를 수행할 연구기관 및 기업을 공모한다.

실증도시는 연구목적에 따라 도시문제 해결형과 비즈니스 창출형으로 구분해 심의를 거쳐 대구광역시와 경기도 시흥시가 최종 선정됐다.

이에 지자체는 예산 지원 및 연구기관 기술협업을 통해 혁신성장에 적합한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모델을 구축하고, 각종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연계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도시문제 해결형은 교통·안전·도시행정 등 도시의 공통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규모 도시를 대상으로 심의해 대구광역시가 선정됐다.

대구시는 ‘산업성장과 시민행복이 함께 하는 글로벌 선도도시’를 목표로 해 스마트 모빌리티 활성화(교통), 사고범죄 긴급구난 대응(안전), 재난 조기경보 대응(도시행정) 등의 체계적 계획을 세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총 90억 원의 국비가 지원되는 지자체 자율제안 과제로는 ‘지능형 영상기반분석 연구’를 제안했다. CCTV 및 빅데이터를 활용해 실시간 교통제어, 소음문제 해결, 전기차 도입 등 시민중심의 스마트시티 기술 연구가 기대된다.

비즈니스 창출형은 에너지·환경·복지 등 새로운 산업을 스마트시티에 적용하기 위해 중소규모의 도시에서 리빙랩(Living Lab, 일반적인 실험실 연구와 달리 생활현장에서 시민들의 참여로 진행하는 연구 방식) 형태로 추진하는 시흥시가 선정됐다.

시흥시는 ‘지속가능한 스마트 프로슈밍 시티’를 목표로 제시해 지역산업의 쇠퇴, 고령인구 증가, 도시과밀 등 중소도시의 보편적 특성에 관한 다양한 적합성을 인정받았다.

지자체 자율제안 과제로는 ‘자율주행 플랫폼 구현’을 제안했다. 자율주행 버스 연구 등을 통해 시민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여건에 적합한 새로운 산업 창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스마트시티는 시민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처리하고 연계하는 데이터 허브 기술이 핵심이므로 이 기술을 적용하는 실증도시들은 세계적인 지능형 도시 관리 선도모델이 될 것이다”며, “실증도시를 통한 연구 성과는 국가시범도시(세종·부산) 및 국내 다양한 도시들에 순차적으로 확산 보급해 많은 국민들이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