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월세계약조사’근거로 주거비 부담 현실적 판단

시사경제신문 원금희 기자 = 서울 시민 대부분은 업무ㆍ학업을 위해서 비싼 임대료를 감수하더라도 교통이 편한 중심지역을 선호한다.

이번 결과는 서울시가 지난해 8월부터 월세로 전입한 4천5백여명을 대상으로 계약내용을 조사, 분석한 결과다.

시는 정확한 자료 조사를 위해 확정일자를 받지 않은 월세계약자도 동 주민센터 전입을 근거로 4천여 건의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조사결과 주요 대학가, 업무지구 임대료는 그 외 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3㎡당 임대료는 주요대학가가 7.4만원, 중심업무지구 8.9만원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지역은 5.6만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3.3㎡당 평균임대료 7.5만원으로 나타났다.

세대주연령 기준으로 40세 이상과 미만이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40세 미만 세대의 월세부담액이 40세 이상 세대에 비해 14%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월세가격의 실제 부담액은 계약면적이나 전월세전환율(보증금을 월세로 환산하는 환산율)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이에 보증금을 모두 월세로 환산해 단위면적(3.3㎡)당 순수월세액으로 계산하면 도심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심업무지구 단위당 월세액은 12.2만원으로 성북ㆍ동대문지역(4.8만원)의 약 2.5배 수준이다.

주택유형별 단위당 월세는 단독ㆍ다가구의 월세가격이 가장 낮았다. 상가내 주택을 포함한 준주택은 3.3㎡당 평균 10.9만원으로 단독ㆍ다가구(6.2만원)보다 4.7만원 비쌌다.

고시원ㆍ오피스텔 등 준주택은 주로 상업지역에 위치해 지하철역 등과 가까워 교통의 편리함이 주는 프리미엄이 작용한 결과다.

상가ㆍ준주택에 대한 장년층의 지불가격이 청년층보다 약 40% 높아 장년층이 상대적으로 고가 사양의 준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주택의 계약을 평균적으로 보면 청년층이 보다 단기간 좁은 면적을 임차해 월세단가가 높은 것으로 해석됐다.  

청년층의 월세 계약건수가 많이 조사된 지역은 관악ㆍ마포ㆍ강서ㆍ용산ㆍ성동 순이며, 월세액이 높은 순서는 동작ㆍ용산ㆍ마포ㆍ관악ㆍ성동 순이었다.

강서구는 마곡지구 등 최근 주택공급이 활발해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동작구는 학원이용의 편리성으로 주거수요는 높으나 주택공급이 제한적이어서 가격이 높게 형성된 지역으로 풀이된다.

시 관계자는 “월세계약조사는 그 간의 확정일자 자료를 활용한 전월세전환율 통계와 더불어 서민의 주거비 부담을 현실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전국에서 유일한 자료”라며 “이를 바탕으로 주거비 부담이 심각한 계층이나 지역에 대한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을 서둘러 마련할 것” 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