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기조, 월세현상 증가ㆍ신도시 주거선호도 상승
젊은층 감소, 서울시의 고령화 및 성장동력 감소

시사경제신문 원금희 기자 = 서울지역 전세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저렴한 집을 찾아 경기도 등으로 이사하는 시민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서울은 1980년대 이후 유지되던 인구 1000만명 선이 무너지게 생겼다.

통계청에 따르면 2월 현재 서울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1001만4261명으로 지난해 같은기간(1010만5206명)과 비교해 9만945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 인구는 1992년 1094만명 수준이었으나 경기 등 택지지구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빠져나가며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에는 2014년 변동량보다 2배 이상 많은 8만1052명이 감소했다.

이같은 인구 감소는 전세가격 상승과 전세품귀 등 서민들의 주거불안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부동산 훈풍으로 매매가격 자체가 상승한 데다 정부의 저금리 기조도 계속되면서 전세매물 품귀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3.3㎡당 1247만원으로 2012년 6월 이후 44개월 연속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율은 74.2%(2월 기준)로 2009년 1월 이후 6년1개월 연속으로 상승했다.

전체 임대차 물량 가운데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1일 기준 전체 임대차 거래 9118건 가운데 38.6%가 월세거래였다. 저금리 기조로 집주인들이 월세 선호가 뚜렷해지면서 전세물건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전언이다.

반면 경기도 매매가격은 서울시 전세가격의 80% 수준에 형성돼 있어 전세 비용으로 내집마련이 가능하다. 기존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997만원이며 신규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격도 3.3㎡당 1057만원에 불과하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수도권 교통망이 개선되고 기반시설도 확충되면서 신도시 등 경기도에 대한 주거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판교·광교처럼 신도시의 이미지가 향상돼고 집값 상승을 기대할 수 있게 된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말했다.

이에 서울시는 임대주택 공급 등 주택정책에 역량을 쏟고 있다. 전출 인구의 상당수가 신혼부부 등 젊은층에 집중돼 서울시의 고령화 및 성장동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앞서 공공임대주택 위주였던 서울시의 임대주택 정책은 민선 6기에 들어오면서 민간임대 물량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환됐다. 2018년까지 공공임대 6만 가구·민간임대 2만 가구를 공급하는 게 목표다.

민간 주택을 활용하는 매입임대주택이나 빈집활용 임대주택의 비중도 확대됐다. 특히 시는 민간 소액투자자들로부터 모은 자금을 부동산사업 등에 투자한 뒤,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자금조달방식을 활용해 서울리츠 임대주택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또 시는 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각종 규제완화를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역세권의 규제를 완화한 뒤 청년층 등에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역세권 2030 주택'이 대표적이다. 규제완화의 범위는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임대주택의 양적 증가는 물론 질적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는 평가다.

시 관계자는 "인구 감소는 서울시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주거정책에 접근하고 있다"며 "임대주택 8만 가구 공급은 물론 지속적인 주택정책 개발을 통해 시민들의 주거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