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거래·분양·해외건설 모두 악재

시사경제신문 정혜인 기자 =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국내 주택시장은 물론 건설경기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달러 이탈에 따른 외환위기를 방어하려면 우리나라 역시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야 하는데 이는 결국 투자심리 위축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중동과 신흥국 등 해외건설 발주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으로 꼽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16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 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결정했다.
 
이미 예고됐던 사안이지만 조만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단계적으로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 신규 분양시장과 주택 거래시장 위축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미국 금리인상은 결과적으로 시중은행들의 대출금리 인상으로 이어지는데 이럴 경우 빚을 낀 집주인들 원리금 부담은 늘어나게 된다. 원리금 부담을 못 이긴 집주인이 증가하면 자연스레 시장에 매물로 나오는 주택도 늘어난다.
 
반면 낮은 대출 문턱을 이용해 매매에 나섰던 수요자는 줄어들어 거래 경색 및 집값 하락의 악순환이 반복될 우려가 있다.
 
올들어 잠시 회복세를 보였던 분양시장에도 찬바람이 불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들이 중도금 등 집단대출 금리를 인상할 수 있는데다 공급과잉 논란으로 청약시장 열기도 한풀 꺾인 모습이기 때문이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은 "거래 및 분양시장 위축이 전세난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할 부분"이라며 "거래경색 및 집값하락이 현실화되면 전세로 눌러앉는 수요자가 늘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내년 상반기 예정된 재건축·재개발 이주수요도 상당하다""전세공급이 부족한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전세난 가중이 우려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건설사들에도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국내 주택사업이 위축되면 해외에서 수주고를 확보해야 하는데 이마저도 쉽지 않아서다.
 
그동안 미국이 양적완화 정책을 펼치면서 시장에 풀린 달러의 상당량은 이른바 이머징 마켓으로 불리는 신흥국으로 유입됐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신흥국에 유입됐던 달러는 투자가치가 상승한 미국으로 다시 빠져나가게 된다. 달러 이탈이 가속화되면 이들 국가의 통화 가치는 달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락한다.
 
발주와 관련된 예산을 달러를 기준으로 편성했던 신흥국들은 재정수지 악화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예컨대 말레이시아 정부가 1달러 당 4링깃을 기준으로 발주 계획을 세웠다면 1억 달러 규모 프로젝트에는 4억 링깃을 예산으로 반영한다.
 
달러 강세로 링깃·달러 환율이 1달러 당 5링깃까지 상승하면 말레이시아는 1억 달러 규모 공사에 5억 링깃을 투입해야 한다. 달러 가치 상승이 신흥국들 재정부담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건설업체 관계자는 "미국발() 금리인상 쇼크가 국내 주택시장은 물론 해외건설 시장에서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재정수지가 악화된 신흥국들의 발주물량이 축소되면 해외수주 기근 현상은 더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